컨텐츠 바로가기

01.06 (월)

이슈 [연재] 아시아경제 '과학을읽다'

[과학을읽다]"기후변화 설파하니 성폭력 위협"…공격당하는 과학자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 비영리단체, 설문조사 결과

기후과학자 40% 온라인 공격 경험

"그래도 지구는 돈다." 1663년 지동설을 주장했다가 종교 재판을 받게 된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했다는 말이다. 이런 일을 요즘은 기후학자들이 당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논문·언론 매체나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기후 변화 양상을 설명하고 대응을 설득하다 괴롭힘·욕설은 물론 성폭력 위협 등에 시달린다는 것이다.

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는 비영리 기구 '글로벌 위트니스(Global Witness)'가 지난해 말 전 세계 기후 변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0명 중 4명꼴로 온라인에서 공격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 설문에 응답한 468명의 연구자 중 183명(39%)이 괴롭힘·모욕, 성차별적 욕설이나 성폭력 위협 등을 당했다고 적었다.

우선 논문을 많이 쓰거나 노출이 잦은 학자일수록 피해자가 많았다. 6개 미만의 논문을 펴낸 학자들은 24%만 온라인 괴롭힘ㆍ욕설을 당했다고 응답했지만 10개 이상 논문을 출판한 학자들은 49%나 됐다. 또 한 달에 최소 한 번 이상 언론에 등장했던 학자들의 경우(응답자의 13%) 무려 73%가 모욕을 당한 적이 있었고, 이중 29%는 '매우 심한' 또는 '상당한' 모욕을 당했다고 답했다. 심지어 한 번도 언론 매체에 얼굴을 내밀지 않은 학자(응답자의 19%)마저도 12%가 온라인 욕설을 당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욕설을 당한 연구자들은 대부분 신뢰도(81%), 연구 업적(91%)에 대한 공격을 당했다.

아시아경제

화석연료 사용에 항의하는 붉은여단 시위대 (런던 AFP=연합뉴스) 2022년 4월 1일(현지시간) 영국 에딘버러의 스코틀랜드 의사당 앞에서 열린 기후변화 방지 운동단체 '멸종저항' 시위에 참여한 '붉은 여단' 활동가들이 붉은색 천으로 온몸을 감싼 의상을 입은 채 화석연료 사용에 항의하고 있다. 2022.4.1 leek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여성 연구자들의 경우 남성 연구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더 심한 공격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욕ㆍ욕설을 당한 여성 과학자 중 34%가 성적 정체성과 관련된 공격을 받았으며, 13%는 성폭력 위협을 당했다고 털어놨다. 남성은 3%에 그쳤다. 또 여성의 경우 '나이가 어리다'는 등 연령과 관련해 '매우 심한' 또는 '상당한' 괴롭힘을 당한 비율이 17%로 남성(5%)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성추행 위협이나 물리적 위협을 당한 비율도 13%로 남성보다 높았다. 피해 여성 과학자의 19%, 남성의 16%가 신체적 폭력의 위협을 받았다고 답했다.

실제 헬렌 무리 노르웨이 과학기술대 수석 연구원은 "소셜 미디어나 메신저, 기사 댓글이나 이메일은 물론 가족들이나 회사에까지 전화를 걸어 욕설을 하는 일이 다반사"라면서 "자살하라는 얘기부터 사냥해서 마음대로 하겠다거나 부친에게 전화해 협박하고 '이런(기후 변화) 연구는 남자들이 하게 해야 돼'라는 성차별적 발언을 듣는다"고 호소했다.

이같은 폭력을 당한 기후변화 연구자들은 상당한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절반이 넘는 피해자들이 불안(남성 46%ㆍ여성 62%)이나 직업적 평판 훼손에 대한 두려움(남성 48%ㆍ여성58%)을 호소했다. 생산성 상실(남성 43%ㆍ여성 58%)ㆍ수면 장애ㆍ일에 대한 두려움, 신변 안전에 대한 두려움, 우울감, 사회적 고립 등을 겪은 이들도 많았다. 심지어 스트레스로 인해 병이 나거나 공격을 받아 신체적 상해를 당한 이들도 있었다. 이들이 공격을 당한 소셜미디어로는 트위터(44%)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페이스북(31%), 링크트인(7%), 인스타그램(4%) 순이었다.

이같은 실태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한 글로벌 위트니스는 가장 우선적인 대책으로 소셜미디어 회사들의 자정 노력을 강조했다. 이 단체는 "유해한 환경을 조성하지 말고 정책을 명백히 위반하는 콘텐츠에 대해선 더 신속한 조치를 취하고 인권 영향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