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뮤지컬과 오페라

탄생 150주년… 작은 음악회로 더 아름다운 뮤지컬 ‘라흐마니노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라흐마니노프’ 공연 장면. HJ컬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월 1일이 라흐마니노프의 생일인데요. 생일을 기념해 7명의 연주자분들이 특별한 연주를 준비했습니다.”

1873년 4월 1일 러시아에서 태어난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라흐마니노프가 150년이 지나 한국에서 생일을 축하받았다. 비록 실물이 아닌 음악으로만 그를 만났을 뿐이지만 한국 관객들은 라흐마니노프가 눈앞에 있는 것처럼 함께 특별한 시간을 보냈다.

라흐마니노프 탄생 150주년을 맞아 세계 곳곳에서 기념 공연이 펼쳐지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뮤지컬 ‘라흐마니노프’가 깜짝 무대로 그를 기념하고 있다.

지난 1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에서 개막한 창작뮤지컬 ‘라흐마니노프’는 24세에 첫 교향곡을 발표하지만 예상 밖의 비난 세례에 깊은 슬럼프에 빠진 라흐마니노프가 정신의학자 니콜라이 달 박사를 만나 마음을 치유해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아름다운 선율과 함께 라흐마니노프가 견뎌낸 지난한 시간을 통해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도 용기를 전한다. 라흐마니노프 개인의 이야기지만 마음의 상처를 지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다.
서울신문

공연이 끝나고 연주회가 열리는 모습. HJ컬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50주년에 보는 ‘라흐마니노프’도 특별하지만 공연이 끝난 후 7명의 연주자가 준비한 작은 음악회가 감동을 더한다. 뮤지컬 관객들은 공연이 끝난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에 라흐마니노프 ‘보칼리제 14번’과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등을 들으며 이야기의 깊이를 더하게 된다. 음악가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답게 뮤지컬이지만 마치 한 편의 클래식 음악회를 보고 온 기분을 느끼게 한다.

‘라흐마니노프’는 오는 22일까지 볼 수 있다. 라흐마니노프 역은 박유덕, 안재영, 정욱진이 맡았고 달 박사는 유성재, 정민, 김경수, 임병근, 정동화가 함께한다.

류재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