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우원 5·18기념문화센터, 5·18민주묘지 방문
"전두환 씨, 큰 죄 지어···가족 구성원으로서 반성"
희생자·유족들 "이제야 와줘서 진심으로 환영한다"
전 씨, 5·18민주묘지 방문해 겉옷으로 비석 닦아
"죄 뚜렷이 보여···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겠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故) 전두환 씨의 손자 전우원 씨가 광주를 방문해 5·18민주화운동 희생자들과 유족들을 만나고 “5·18과 같은 너무나도 큰 죄를 지어 죄송하다”며 무릎을 꿇고 사과했다. 유족들은 전 씨를 따뜻한 마음으로 맞이한다며 광주에 찾아와서 사과해준 데 대해 환영의 뜻을 밝히며 맞이했다.
전 씨는 31일 오전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유족 및 피해자와의 만남 현장에서 “더 일찍 사죄의 말씀을 드리지 못해 진심으로 죄송하다. 전두환 씨는 5·18과 같은 너무나도 큰 죄를 지었으며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반성하고 정말 다시 한 번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 씨는 기념문화센터 리셉션 홀에 마련된 면담 공간에 검은 코트를 입고 나타나 굳은 표정으로 자리했다. 전 씨의 오른편에는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교도소 앞에서 총상을 입었던 시민군 김태수 씨가 팔에 깁스를 한 모습으로 착석했다. 전 씨의 왼편에는 고교생 시민군으로 활약하다 1980년 5월 27일 광주 도청을 지키다 총상을 입어 사망한 문재학 열사의 어머니 김길자 씨가 앉았다. 당시 폭행 구금 피해자였던 김관 씨도 배석했다.
전 씨는 “일제강점기부터 민주화까지 너무나 많은 희생이 있었음에도 전두환은 민주주의의 발전을 도모하지 못했다”며 “늦게 찾아뵙게 돼 더 일찍 사죄의 말씀을 드리지 못해 진심으로 죄송하다”면서 연신 사과하다 말을 잇지 못하고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1980년 5월 18일에 일어난 사건을 어떻게 규정할 것이며 당시 5·18 학살의 주범은 누구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있어서는 안 될 대학살의 현장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주범은 누구도 아닌 저의 할아버지 전두환 씨라고 생각한다”고 잘라 말했다.
현장에 참석한 유족들은 전 씨의 사과를 환대하며 함께 눈물을 흘렸다. 김길자 씨는 “이제야 와줘 눈물이 난다. 광주를 처음으로 오셔서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그동안 얼마나 두렵고 힘들고 이런 결정을 하기까지 얼마나 고통이 컸을까 하는 생각에 가슴이 아프다”고 했다. 그러면서 “큰 결심을 한 것에 대해 감사하며 이제부터 차분하게 얽힌 실타래를 풀어가는 심정으로 진실을 밝혀서 화해의 길로 나아가자”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리에 앉아있던 김경철 열사의 어머니 임금단(92)씨는 “오늘 눈에서 눈물이 떨어지는데 화해의 눈물이며 정말 찾아와줘서 얼마나 힘이 되나”라며 “내 아들이, 하늘이, 땅이 알고 40여 년 동안 살아왔는데 일생을 진실도 못 밝히고 생각만 하면 한이 맺힌다. 진실을 앞장서서 밝혀달라고 부탁하고 싶다”고 말했다. 전 씨는 발언을 모두 마친 뒤 자리에서 일어나 참석한 유족들에게 절을 하며 사과했다. 유족들은 눈물 흘리며 전 씨에게 뜨거운 포옹을 건넸다.
전 씨는 유족과의 면담을 마친 뒤 5·18기념공원에 위치한 추모승화공간을 방문했다. 이 곳은 5·18 피해 보상을 받은 사망자, 행방불명자, 부상자 등 피해자 4296명의 이름이 적힌 명패가 위치한 곳이다. 추모공간을 방문한 전 씨는 “너무나 명백하게 명단이 공개돼 있음을 제 눈으로 다 확인했다”며 “정말 죄송하고 눈으로 직접 보니 할 말이 없다. 정말 죄송하다”고 밝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념문화센터를 방문한 뒤 전 씨는 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전 씨는 민주묘지에 입장하기 전 방명록에 ‘저라는 어둠을 빛으로 밝혀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민주주의의 진정한 아버지는 여기에 묻혀계신 모든 분들이십니다’라고 적었다. 이후 향을 피우고 묵념을 한 전 씨는 희생자 묘와 아직도 시신을 찾지 못한 행방불명자의 묘를 차례로 찾아 자신의 겉옷으로 비석을 연신 닦으며 참배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 씨는 이곳에서 희생자 문재학 씨의 묘를 찾아 참배하고 문재학 씨의 어머니 김길자 씨와 대화를 나눴다. 김 씨는 “이 봐요 이렇게 잘생긴 아들을 할아버지가 죽였어. 재학아. 전두환 손자가 와서 사과한단다. 이 어린 학생을 무슨 죄가 있어서 총으로 쏴서 죽이고···”라며 흐느꼈다. 김 씨는 “그 피를 이어받은 사람이 와서 사과한다니 마음이 풀려요 풀려. 위로 받았고 광주를 올 때 얼마나 마음 속으로 두려웠겠어”라며 “앞으로 계속 이어서 해야지 오늘로 끝나면 안되지라”고 말했다.
전 씨는 민주묘지 참배를 마친 뒤 “너무 늦게 와서 죄송하고 창피하다. 이제 오니 죄가 뚜렷이 보이고 죄송한 마음 뿐”이라며 “앞으로도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 씨는 다시 한 번 전 씨를 안아주며 “내 아들 안는 것 같이 안아주겠다. 진심으로 고맙고 너무 고맙다”며 전 씨의 등을 토닥였다.
광주=박신원 기자 shin@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