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방역당국, 신종 팬데믹 대비 중장기계획 5월초 발표…"과제 발굴 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 다음 팬데믹 후보로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거론

질병관리청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계획 토론회

뉴스1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계획'의 발표내용/질병관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방역 당국이 코로나19 이후 신종감염병(Disease X) 대유행(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한 중장기 대응 계획을 세워 5월 초에 발표한다. 신종감염병 발생 주기는 줄어든 반면 규모는 확대되는 등 감염병 대유행 위험이 큰 상황인지라 지금부터 다음 대유행 대비 계획을 시급히 세워야 한다는 판단이 깔렸다.

정통령 질병관리청 위기대응총괄과장은 23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열린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계획' 전문가 토론회에서 "머지않은 미래에 있고, 우리 세대가 또다시 겪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신속하게 준비해야 한다는 (당국의) 생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 과장 발표에 따르면 미국은 100일 이내에 백신 설계를 완료하고 130일 내 자국 공급, 200일까지 전 세계에 공급을 목표로 총 77조원을 투입하는 감염병 대비 혁신 계획을 세우는 등 해외 주요국도 중장기계획을 세우고 있다.

해외에서는 다음 대유행 감염병 후보로 조류인플루엔자(AI) 인체감염증이 거론되고, 신종 감염병으로 인한 재난적 감염병 유행은 고병독성 RNA 바이러스의 인수 공통 전파로 인해 발생하리란 전망이 있다. 향후 25년 이내 코로나19보다 더 큰 팬데믹이 발생할 수 있다는 예상도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대유행 또는 공중보건위기상황이 초래 가능한 다양한 감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범용적인 계획을 만든 뒤에, 호흡기 감염병 또는 감염자의 피해가 큰 감염병별로 계획을 세울 예정이다.

질병청은 '효과적 위기 대비·대응으로 안전한 사회 실현'을 목표로 백신·치료제 등 주요 대응 수단을 신속히 확보하고 대규모 유행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취약계층도 두텁게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중장기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뉴스1

정통령 질병관리청 위기대응총괄과장이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계획' 검토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질병관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 과장은 "현재 감시예방, 주요대비대응, 일상회복, 기반강화, 연구개발 분야 등의 분야별 과제를 발굴하고 있다"며 "그동안 14차례에 걸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의견을 받았고 오늘 토론회 이후 구체화해 5월 초에 잠정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신종감염병에 대비하기 위한 △조기 감지·예방 강화 방안 △주요 방역 대비 방향 △체계적인 병상·수가 등 의료체계와 자원 대비 방향 △백신·치료제 국산화 등 연구개발 구축·활용 방안 등에 대해 조언했다.

이관 동국대 의대 교수는 '조기 감지·예방 강화 방안'을 주제로 국내에서는 감염병 감시 및 신고·보고체계를, 국외에서는 국제기구 간 협력과 검역, 사례 중심 감시체계, 다자협력 거버넌스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는 '주요 방역 대비 방향'에 대해 소개하며 "각 시기에 따라 방역 정책의 효과가 다르다.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성과 비용 대비 효과, 절차적 정당성 등을 고려해 국민의 자율적 참여를 이끌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재갑 한림대 의대 교수는 '의료체계와 자원 대비 방향'을 주제로 "국가 지정 입원 병상은 중증 진료가 가능한 구조로 재편하고, 중환자실을 1인실로 구성하도록 장기적인 지원체계와 특수병상을 사전에 지정해 병상 수준별 준비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 교수는 싱가포르가 1차 의료를 기반으로 공중보건 비상사태에 대비한 보건의료 체계를 소개하며 "정상적인 의료체계로의 편입이 필요하며 수가체계로 견인이 필요하다. 확산 시나리오에 따라 병상과 인력 동원 매뉴얼을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Post-Corona Era)의 신종감염병 R&D(연구·개발) 구축·활용 방안을 발제한 성백린 연세대 의대 교수는 백신, 치료제, 진단의 연구개발 강화를 언급했다. 성 교수는 "공용 플랫폼을 민관협력으로 구축하는 등 거버넌스를 재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토론회 좌장은 김남중 서울대 의대 교수가 맡았고 지정 토론자로 최원석 고려대 의대 교수, 서지영 성균관대 의대 교수, 김종헌 성균관대 의대 교수,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장영욱 대외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홍기종 가천대 암당뇨연구원 의예과 교수가 참여했다.

ks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