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G7 정상회담

G7 초청장 받은 尹대통령…한일 장애물 넘자, 한미일 삼각공조 탄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월 히로시마서 한미일 정상회담 가능성

대통령실 “회담 가능성 긍정적 근거 생겨”

전문가들 “한미일 협력, 좀 더 힘 실릴 것”

시진핑·푸틴 회동, 北 상공 핵 훈련도 요인

헤럴드경제

지난해 11월 13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윤석열 대통령(왼쪽부터),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박상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로부터 5월 개최될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초청되면서, 향후 한미일 3국의 공조도 더욱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일본이 한일 정상회담 후 ‘G7 초청’이란 움직임을 즉각 보이면서, 한미일 정상회담을 통한 ‘한미일 3국 공조’ 강화 가능성은 현재 더욱 커진 상황이다.

21일 대통령실 안팎에선 윤 대통령이 오는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 자리에서 기시다 총리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등 양국 정상들과 만나 한미일 정상회담을 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일본의 G7 초청과 한미일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볼) 근거는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미일 삼각 축에서 한일이 사실 조금 많이 미약했다”며 “이제 경제 안보 대화도 한일 간에 시작하고 군사적으로 어떤 고위급 대화를 한다면 공유되는 정보나 커뮤니케이션 형태나 이런 게 훨씬 더 긴밀해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이 고도화되고 있으니 한미일 간의 군사정보 공유를 넘어서 안보 협력까지 훨씬 더 한 단계 격상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번 G7 참석으로 한미일 삼각공조에 탄력이 붙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최은미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시다 총리가 우리나라를 초청했다는 건 한국을 이제 협력 파트너로서 인식하고 있는 거고, 한일 정상회담을 통해 한 번 더 명확히 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미일 협력이란 부분에 조금 더 힘이 실릴 수 있고, G7에서 논의할 국제 현안에 대해 한국이 함께 손을 잡을 여지가 넓어졌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한일 정상회담으로 한일관계 개선 첫발을 뗀 상황에서 4월 한미정상회담 성과를 발판으로 한미일 정상회담 통한 ‘한미일 3각 공조’의 내실을 다지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러시아를 국빈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을 하며 ‘반미 연대’를 과시한 점과, 북한이 지상 800m 상공 핵미사일 폭발 시험 등 전술핵운용부대 훈련을 한 점도 이러한 관측에 힘을 보탠다. 윤 대통령은 지난 16일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기시다 총리와 북한 문제를 비롯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일, 한미일 3국 간 협력을 재강조하고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지난 16일 기시다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 윤 대통령은 내달 26일엔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재로서는 한미일 3국이 군사안보, 경제안보를 위해서 협력한다는 확고한 의지는 확실하다”고 말했다.

일본 교도통신과 요미우리신문 등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전날 인도 뉴델리 방문 중에 취재진을 만나 윤 대통령에 대한 G7 초청 의사를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한국 외에 브라질, 호주, 베트남, 인도네시아, 코모로, 쿡 제도 정상을 G7 정상회의에 초청한다고 설명했다.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은 전날 관련 보도 직후 서면 브리핑을 통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을 5월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초청한 것에 대해 한일 정상회담 결과에 따른 긍정적 조치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pooh@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