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미국이 '스파이 도구' 의심한 중 크레인, 국내 항만 53% 점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신항 2부두의 중국 상하이전화중공업 크레인

최근 미국에서 '스파이 도구'로 작동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중국 상하이전화중공업(ZPMC)의 대형 크레인이 부산항 등 국내 주요 항만에도 다수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안병길 의원이 해양수산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주요 항구 10곳에서 운용되는 크레인 총 809기 가운데 52.8%인 427기가 상하이전화중공업 제품입니다.

국내 최대인 부산항은 크레인 총 538기 가운데 298기(55.4%)가 이 회사 제품이었습니다.

주한미군사령부 인근인 평택항은 비율이 75%에 달했고 인천항은 68.1%, 울산항 62.5%였습니다.

앞서 지난 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국방부를 비롯한 안보당국이 미국 항구에서 사용되는 ZPMC 크레인이 스파이 도구로 작동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 의회는 지난해 12월 국방수권법을 의결하면서 교통부에 '해외에서 제조된 크레인이 미국 항구의 사이버 안보와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를 만들라'고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안병길 의원은 "국내 항구에 설치된 모든 크레인을 대상으로 보안성을 점검하는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부산신항만(PNC)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