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단위 금리 인상 관측…우크라 전쟁 장기화 등 불확실성 지속
물가안정 방점 둔 완만한 통화·재정 정책 필요
SVB·암호화폐 등 추가 리스크 산적…대비 태세 만전 기해야
배리 아이켄그린(Barry Eichengreen) UC버클리 교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적 경제 석학으로 꼽히는 배리 아이켄그린(Barry Eichengreen) UC버클리 교수는 최근 당면한 글로벌 금융 복합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물가 안정에 주력해야 하며 당분간 과도한 조치를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이켄그린 교수는 오는 21일 열리는 아주뉴스코퍼레이션(아주경제) '2023 아시아·태평양 금융포럼(APFF·Asia Pacific Financial Forum)' 강연을 앞두고 사전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아이켄그린 교수는 "먼저 세계경제 전망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어떤 결정을 할지에 달려 있다"며 "제 의견으로는 연준이 새로운 대단위 금리 인상을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으로 연준의 금리 인상 폭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있지만 추후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가능성도 상존한다.
실제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은 지난 7일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서 "만약 전체적 지표상 더 빠른 긴축이 필요하다면 우리는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연 4.5~4.75%다.
아이켄그린 교수는 미국이 통화 긴축을 언제 마무리할지 확답하기는 어렵고, 우크라이나 전쟁 등이 겹치며 글로벌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미국 경제가 금리 인상으로 불황을 경험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긴축이 언제 끝날지는 불확실하다"며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휴전으로 언제 마무리될지 알 수 없고, 미국과 중국 간 긴장도 즉각 완화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 그는 한국이 물가 안정에 방점을 둔 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이켄그린 교수는 "물가 안정을 위해선 통화·재정 정책을 완만히 조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문제 되지 않는 선에서는 진행을 해야 한다"며 "연준의 인플레이션 대응 조치로 인해 한국 성장률이 떨어질 수 있는 만큼 지나치게 과도한 조치는 하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연준은 물가에 대한 통제력을 잃으면서 시장의 신뢰를 상실했다"며 "2021년 인플레이션을 ‘일시적’이라 오판했고 그 결과 최근 물가 상승률이 약 40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는 상황을 만들기도 했다. 이 때문에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통제될 때까지 금리 인상을 지속하고 있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실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해 말 '물가안정목표 운용상황 점검 설명회'를 열고 "물가에 중점을 둔 통화정책 운용 기조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후 이 총재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해 시장 안정을 꾀했다.
아이켄그린 교수는 포럼 방문객에게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을 묻는 질문에 "안전벨트를 꽉 붙들어 매라"는 간결한 메시지를 남겼다. 국가 차원에서 정공법을 택하고 있지만 금융권 곳곳에 리스크들이 도사리고 있어 다각적 측면에서 시장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직 한국에 대한 영향은 미미하지만 최근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사태를 비롯해 사모펀드와 암호화폐 부문에서 리스크들이 여전한 상황이다.
아주경제=전상현 기자 jshsoccer7@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