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전세계 코로나 상황

코로나19 中기원설에 선 그은 백악관 "아직 의견일치 안 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YT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에너지부가 코로나19의 중국 우한(武漢) 기원설에 힘을 실었지만, 백악관은 "정부 내에 아직 의견일치가 없다"면서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고 정치전문매체 더힐이 27일 보도했습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정보 당국과 다른 정부 기관은 아직 이 사안을 들여다보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아직 분명한 결론이 없어서 말하기 곤란하다"면서 코로나19 중국 기원설과 관련해 "언론 보도를 옹호하고 싶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날 에너지부가 중국 우한의 한 연구소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새로운 첩보에 근거해 이전과 달리 중국 기원설로 입장을 뒤바꿨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에너지부는 다만 이 같은 결론을 백악관 등에 제시하면서 '낮은 신뢰도'라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에너지부 입장을 바꾸게 만든 첩보의 구체적 내용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커비 조정관은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때 코로나 기원을 파악하는 것을 주요 과제 중 하나로 삼고, 정부 기관의 업무를 조정했다면서도 "아직 미 정부에서 코로나가 어떻게 시작됐는지에 대한 합의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미 정보 당국은 코로나바이러스가 중국 연구소에서 유출됐다고 결론을 내릴지를 놓고 의견이 갈라져 있습니다.

우한 연구소를 바이러스의 기원으로 지목한 연방수사국(FBI)나 에너지부와는 달리 국가정보위원회(NIC)와 4개 정보기관은 바이러스 자연발생설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미 정부 관리들은 대유행이 2020년 초 처음 시작된 이래 코로나19 기원을 밝히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미국 공화당은 특히 우한 기원설에 무게를 실어 왔습니다.

상하이에서 서쪽으로 805㎞ 떨어진 우한에는 바이러스 유출 장소로 지목된 우한바이러스연구소 등이 있습니다.

중국 당국은 2021년 우한연구소 유출설을 조사하기 위해 방문한 세계보건기구(WHO) 실사단에 협력을 거부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정찰 풍선 사태로 미국과 갈등의 골이 깊어진 중국은 우한연구소 바이러스 유출설이 또 다시 제기되자 미국이 허위사실을 퍼뜨리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YTN 임수근 (sgl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보기 〉
뉴스 속 생생한 현장 스케치 [뉴스케치] 보기 〉
'한방'에 핫한 '이슈' 정리 [한방이슈] 보기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