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동아시아 영토·영해 분쟁

동중국해서 中 무인기 비행 급증…대만 유사시 상정한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동중국해에서 미야코지마와 오키나와 본섬 사이 해협을 지나고 있는 중국군의 TB-001 [교도통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동중국해와 그 주변에서 중국 무인기 운용이 잦아지고 있다. 중국이 대만의 유사시를 상정한 훈련을 시행하고 있다는 추측이 나온다.

27일 요미우리신문은 중국이 동중국해와 그 주변에서 무인기 운용을 크게 늘리면서 일본 항공자위대의 긴급발진도 잦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항공자위대는 비행경로를 분석해 영공 침범 우려가 있을 때 긴급발진한다.

긴급발진은 2015년 9월부터 현재까지 총 15회였으며 이 가운데 80%인 12회가 2021년 8월 이후에 이뤄졌다. 중국 무인기를 대상으로 한 긴급발진은 2013년 9월이 처음이이며, 2019년과 2020년에는 0건이었다.

일본은 2017년 5월 중국 해경국 것으로 추정되는 소형 무인기가 중일 간 영유권 분쟁 지역인 센카쿠 열도 상공에 확인된 것 한 차례를 영공 침범으로 보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이 대만 유사시를 상정한 군사훈련을 강화한 2021년 여름을 기점으로 양상이 달라졌다.

같은 해 8월과 지난해 7∼8월 공격형 무인기 TB-001이 동중국해에서 미야코지마와 오키나와 본섬 사이 해협을 지나 태평양으로 나갈 움직임을 보였고, 올해 1월에는 고고도에서 장시간 체공하는 정찰형 무인기 우전(WZ)-7의 태평양 진출도 처음으로 확인됐다. 일본 방위성 간부는 “동중국해 상공에서 중국 무인기 비행은 근년 매일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요미우리는 이 같은 비행이 대만 유사시 등을 겨냥한 중국군의 구상인 반접근·지역거부(적의 접근 또는 육해공 지역 점령을 차단하는 개념)와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중국의 무인기 운용이 대만 유사시를 염두에 둔 움직임으로 보고 영공 침범 시 무기 사용 기준을 완화하는 등 대책 강화에 나섰다.

방위성은 2019년 이후 3차례 영공을 침범한 정찰풍선을 중국의 정찰기구로 추정하고, 기구나 무인기가 영공을 침범하는 경우를 대비해 자위대의 무기 사용 기준을 완화함에 따라 정당방위 등에 해당하지 않아도 격추할 수 있도록 했다.

balm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