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8 (화)

[스프] "정치생명 걸었다"는 김기현, 협공하는 경쟁 후보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후보의 '울산 땅 의혹'이 국민의힘 전당대회 쟁점으로 부상했는데요, 당 대표 선거 이슈를 넘어 여야 공방전으로도 번지고 있네요. 민심이나 당심이 심상치 않다고 느꼈을까요? 김 후보가 '팩트체크 프레젠테이션'이라고 할 수 있는 기자회견을 열고 조목조목 의혹을 반박했는데요, "1천800배 시세 차익은 거짓, 영향력 행사도 새빨간 거짓말"이라면서 정치생명까지 걸겠다고 했습니다.

항공 사진 띄우고 '팩트체크 프레젠테이션'



김기현 후보는 울산시 울주군 언양읍 구수리 임야 11만 5천㎡(약 3만 5천 평)를 지난 1998년 사들였는데요, 김 후보의 울산 땅 투기 의혹은 여기서 출발합니다. 당시 김 후보는 울산시 고문 변호사였습니다.

김 후보가 이 땅을 3천800만 원에 매입했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오늘(23일) 김 후보 측에서 "실제 매입비는 2억 860만 원대"라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매입 이후 KTX 울산역 연계 도로가 기존 계획과 달리 노선을 변경했는데요, 변경 노선이 김 후보 소유 임야를 지나는 방향으로 바뀌면서 막대한 시세 차익을 올렸다는 게 의혹의 주요 내용이죠.

의혹을 처음 제기한 양이원영 민주당 의원인데요, 대선을 앞둔 2021년 10월 '매입가 3천800만 원-현재 추정 가치 640억 원'이라며 구입 당시보다 무려 1천800배나 뛰었다고 주장했죠.

지난 15일 국민의힘 전당대회 TV 토론에서 황교안 후보가 다시 이 의혹을 제기하면서 김기현 후보의 사퇴를 압박했는데요, 지금까지도 공세를 이어가고 있죠. 게다가 다른 후보들까지 합세하면서 선거의 핵심 이슈로 부상하게 됐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 후보는 가짜뉴스라면서 반박하다가 오늘(23일)은 기자회견까지 자청해 40분 동안 조목조목 해명했습니다. 장문의 펙트체크 해명 자료와 함께 현장 항공 사진 등을 띄우면서 억울함을 호소했죠.

발끈한 김기현 "새빨간 거짓말…정치생명 걸겠다"



김 후보는 우선 1천800배 시세 차익 주장에 대해 펄쩍 뛰었습니다. 처음 문제 제기한 민주당 양이원영 의원 자료를 언급하면서 "(양이원영 의원이 기준으로 삼은) 땅은 공시지가가 25만 4천600원, 제가 소유한 땅은 공시지가 2천270원. 공시지가만 봐도 100배 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땅을 가지고 계산하는 허무맹랑한 의견을 받아들여서 인용하는 것이 가짜뉴스 아니고 무엇이냐"고 항변했습니다.

<세계일보>가 부동산 가치평가 AI 분석 등을 통해 김 후보 땅의 추정가를 산출해봤는데요, 11억 원에서 34억 원으로 나왔다고 보도했습니다. '현재 추정가 640억 원'이라는 주장과는 차이가 크네요. <세계일보>는 "이를 계산하면 25년 사이 5.4∼16.6배가량 평가차익이 발생한 셈"이라고 합니다.

김 후보는 도로 계획 변경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전혀 사실 아니다"라고 일축했습니다.

“도로가 터널로 지나가도록 압력하고 로비하는 사람이 있냐, 자기 땅 밑으로 지나가라고 로비하는 사람이 있냐. GTX 터널 지나간다고 서울에선 항의하고 있다. 그런데 터널 뚫어 달라고 했다니, 그러면서 그걸 나보고 증명하라고 하니, 이게 말이 되냐"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김 후보는 오늘(23일)도 "정치생명을 걸겠다"면서 의혹이 가짜뉴스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의혹이 커지면서 민심이나 당원 여론이 심상치 않다고 판단한 듯합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짜뉴스가 가짜가 아니라 진짜라면 저의 정치생명 걸겠다고 명확히 말씀드렸습니다. 하늘을 우러러 단 하나의 허물도 없다는 사실 명확히 말씀드립니다. 어떤 음해와 마타도어에도 저는 굴하지 않고 끝까지 진실로 싸울 것입니다. 거짓은 결코 진실을 이길 수 없습니다.


협공하는 경쟁 후보들, 울산 간 이준석



김 후보가 의혹을 정면 반박하고 있지만, 경쟁 후보들의 협공은 거세지고 있습니다. 특히 천하람 후보를 지원하고 있는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울산 김기현 후보 땅까지 찾아갔습니다. 이 전 대표는 '울산 땅 의혹' 이슈를 증폭시킬 태세입니다.

이 전 대표는 어제(21일) 울산행을 예고했는데요, '황교안 전 총리가 가보라고 해서 울산 현장에 가겠다'고 SNS에 적었습니다. 황교안 후보가 지난 20일 TV토론에서 "답은 항상 현장에 있다. 누구든지 궁금하신 분은 김기현 후보의 울산 땅 현장에 가 보라. 가서 보시면 바로 답이 나온다"고 한 말을 받은 거죠.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황 총리님이 너무 하시는군요.
자꾸 현장 현장 그러시는데, 내일 제가 울산 현장으로 직접 가겠습니다.
가서 현장을 확인하고 95% 할인받아서 땅을 인수하겠습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SNS


천하람 후보도 MBC 리디오에서 "답변을 못 하고 계속 '실제로는 많이 안 올랐다' 하니 조금 석연치 않은 점이 계속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다른 경쟁 후보인 안철수 캠프의 윤영희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의혹이 해소되지 않았다"면서 공격했는데요, "기승전 법적 조치였다"면서 "당 대표의 도덕성 논란에 빠져드는 순간, 총선 결과는 안 봐도 뻔하다"고 비판했습니다.
김기현 후보의 오늘 기자회견은 의혹을 명확히 해소하지 못한 기승전 법적 조치였습니다. 총선 때도 우리당이 당 대표 부동산 문제로 기자회견해야 합니까? 그때도 기승전 법적 조치해야 합니까?
(중략) 당 대표의 도덕성 논란에 빠져드는 순간, 총선 결과는 안 봐도 뻔합니다.

안철수 후보 캠프 윤영희 대변인


당권 주자 가운데 울산 땅 의혹을 처음 제기한 황교안 후보도 연일 김기현 후보를 겨냥하고 있죠. TV 토론 때마다 김 후보 사퇴를 요구하고 있어서 '사퇴요정'이라는 수식어가 붙기도 한답니다.

김기현 후보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어서 추격자인 안철수·천하람·황교안 후보의 검증 공세는 선거 막판까지 이어질 듯합니다.

민주당까지 가세…여야 공방전



김기현 후보의 울산 땅 의혹은 국민의힘 내 당권 주자 간 싸움을 넘어 여야 공방전으로 번지고 있는데요, 민주당이 어제(22일) 당내 조사단을 꾸리기로 하면서 본격적인 공방 이슈가 됐습니다.
김기현 후보가 국민의힘이 아닌 야당 의원이었다면, 지금 소환과 수차례 압수수색을 진행하고도 남았을 것입니다. 성역 없는 수사를 진행해줄 것을 정부에 촉구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김기현 후보의 땅 투기 의혹에 대한 진상조사단을 구성해 김기현 후보에게 제기된 의혹들을 철저하게 규명하겠습니다.

안호영 민주당 수석대변인 브리핑


이에 대해 김기현 후보는 '억지 생떼탕을 끓인다'면서 방어막을 쳤습니다. 김 후보는 "2년 전 원내대표 했을 때는 이재명 대선 후보 대장동 게이트 물타기 위해 허위 사실로 울산 땅 공격하더니, 제가 당 대표가 유력해지자 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 물타기를 위해 울산 땅 문제를 다시 꺼냈다"고 민주당 진상 조사 배경을 분석하면서 "억지 '생떼탕' 끓여대는 것 보니 저는 민주당에 두려운 존재인가 보다"라고 쏘아붙였죠.

민주당에서도 울산 땅 보러 가는 등의 진상조사 활동이 벌어질 텐데요, 이게 오히려 김기현 후보를 도와주는 결과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네요. 유승찬 정치 컨설턴트는 YTN 라디오 '뉴스 정면승부'에서 "상대 당이 진상조사를 하기 시작하면 오히려 결집 효과를 얻을 수도 있어요. 민주당이 김기현 후보를 좋아하면 더 세게 공격을 할 것이고, 이게 정치의 역설이거든요" 라고 분석했습니다.

국민의힘에서는 김기현 후보가 이번 의혹을 넘지 못하면 당 대표로 당선 되더라도 여러 공세에 시달리게 되고 총선 표심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고 합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민표 D콘텐츠 제작위원(minpyo@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