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이번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개최한다. 회의를 앞두고 금리 인상 여부를 둘러싸고 한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고물가와 경기침체 우려가 지속되면서 물가와 경기에 대한 갈등이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상과 동결 가능성을 두고 시장 전문가들의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다. 불과 2주 전만 하더라도 현 수준인 3.5%에서 동결할 가능성이 유력하게 점쳐졌으나, 최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금리 기조가 예상보다 더 장기화될 것으로 관측되면서 국내 기준금리도 영향을 받을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최근 발표된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CPI)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6.4% 상승해 시장 예상치(6.2%)를 웃돌았다. CPI 상승률뿐 아니라 견조한 고용률 등 각종 경제지표가 굳건해 연준이 예상보다 더 높고 길게 통화긴축 기조를 가져갈 가능성이 커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그룹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내달 FOMC에서 빅스텝(0.5%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13.7%로 예측됐다. 일주일 전 동일 조사 수치가 9.2%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큰 폭의 상승세다.
문제는 미 연준의 정책금리 고공행진이 국내 기준금리의 추가 상승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여지가 커졌다는 점이다.
현재 미국 정책금리는 4.5~4.75%, 한국 기준금리는 3.5%로 양국 간 금리차는 1.25%포인트 수준이다. 만약 한은이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미국이 빅스텝 혹은 두 달 연속 베이비스텝(0.25%포인트 인상)을 단행할 경우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가 2.0%포인트 이상 확대될 수 있다. 이처럼 금리 역전폭이 커지면 강달러(원화가치 하락) 속 외국인 자본이 대거 유출될 수 있다.
국내에서도 6개월 연속 5%대 상승률을 이어가며 고공행진 중인 물가는 금리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원·달러 환율 상승, 국제유가, 전기·도시가스 가격 인상,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등이 물가 상승 압력을 키우고 있는 실정이다.
금통위 일정이 2월 이후 3월 한 차례 쉬어간다는 점도 적기에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서야 하는 한은 입장에서는 다소 부담이다. 반면 대외 여건을 둘러싼 불확실성과 부동산 경기 하락, 경기 침체 가능성 등은 금리 동결에 힘을 싣고 있다.
한편, 기준금리를 둘러싼 시각 차는 금통위 내부에서도 팽팽하다.
지난달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익명의 한 위원은 "물가 상승률이 빠른 시일 내에 목표수준 가까이 수렴될 것이라는 확신이 설 때까지 긴축기조를 유지하고 필요 시 추가 기준금리 인상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다른 위원은 "현 정책금리와 시장금리 수준에서 얻을 수 있는 추가적 편익은 매우 작거나 불확실하다"며 그간 진행한 긴축 움직임의 효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을 내세웠다. 이창용 총재도 당시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통위원 3명은 최종금리를 3.5%로 보고 있는 반면, 나머지 3명은 최종금리를 3.75%로 열어뒀다"며 앞으로의 기준금리 결정 논의가 쉽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아주경제=배근미 기자 athena3507@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