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트위터, '나홀로' 대마초 광고 허용…다른 SNS들은 금지 고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트위터가 미국 소셜미디어(SNS) 기업 중 최초로 대마초 판매사에 대한 광고를 허용하기로 했다고 로이터·UPI 통신 등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트위터는 이날 웹사이트를 통해 대마초 판매사들이 미국에서 자사 브랜드와 상품에 대한 광고를 할 수 있도록 광고 정책을 변경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트위터는 ▲ 광고주는 관련 기관의 허가와 트위터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하고 ▲ 당국의 허가를 받은 지역에서만 광고를 할 수 있으며 ▲ 21세 미만의 고객을 대상으로 광고할 수 없고 ▲ 대마초의 건강상 효능을 주장할 수 없으며 ▲ 광고에서 대마초를 이용하는 모습을 묘사해서는 안 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제한 조건을 달았습니다.

트위터는 기존에 의료산업용 소재인 헴프(대마초의 일종)에서 추출한 칸나비디올(CBD) 국소제제에 대한 광고만 제한적으로 허용해 왔는데, 이번 정책 변경으로 대마초 업계에 대한 광고 허용 범위가 확대됐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습니다.

SBS

트위터에 실린 트루리브사 상업용 대마초 광고 (사진=트루리브 트위터 캡처, 연합뉴스)


대마초 판매사들은 트위터의 광고 정책 변경을 환영하며 재빠르게 대응했습니다.

대마초 판매 기업 트루리브는 15일 트위터에서 광고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나 콜린스 트루리브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트위터에 "글로벌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우리 산업을 인정한 것은 미국에서 대마초 산업을 정상화하는 데 한 걸음 더 다가서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적었습니다.

트위터와 달리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틱톡 등 다른 글로벌 SNS 기업들은 오락용 대마초 판매를 금지하는 미 연방법에 따라 대마초 판매 기업에 대한 광고 금지 정책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대마초 회사의 광고를 허용할 경우 기존 광고주들이 자사 광고가 대마초 광고와 나란히 실리는 것을 꺼릴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하고 있다고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전했습니다.

또 잠재적 광고주가 관계기관으로부터 적법한 승인을 받았는지 여부를 확실하게 검증할 수 있겠느냐는 의문도 제기됐습니다.

(사진=AP, 트루리브 트위터 캡처, 연합뉴스)
조제행 기자(jdono@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