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업계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최근 수소 신사업 추진과 관련한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발표했다. 오는 2029년까지 10만톤 규모의 해외 액화수소 도입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방침인데, 올해는 액화수소 인수기지 개념 설계에 착수하고 액화수소 운송선 발주를 위한 주요 사양을 정립할 예정이다.
한국가스공사 수소 사업 홍보용 이미지. /한국가스공사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스공사는 기존 천연가스 배관을 활용한 수소 혼입 실증을 위해 평택 지역에 관련 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수소 혼입은 기존 가스 배관에 수소와 가스를 함께 공급하는 것을 뜻한다. 수소 전용 배관망이 갖춰지기 전에 수소경제를 활성화하는 효율적인 공급 방안으로 부상하면서 미국, 영국 등 해외에서도 실증이 이뤄지고 있다.
수소 혼입은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의 수소경제위원회가 발표한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방안’의 후속 조치 중 하나다. 이 방안에 따르면 에너지 공공기관은 2026년까지 수소 혼소 기술을 확보하고, 2028년부터는 청정수소 암모니아 상용 발전을 추진할 예정이다. 2029년에는 10만톤 규모 해외 액화수소 도입 인프라도 만들어질 전망이다.
앞서 가스공사는 지난 2020년 6월 산업부가 진행한 공모에서 수소 유통 전담기관으로 선정됐다. 전담기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수소유통센터를 신설했고, 수소 유통체계 확립, 수소 거래 및 적정가 유지, 수소 수급관리, 수소충전소 정보 수집 및 제공 등 수소 유통 전반에 걸친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가스공사가 정부 정책에 발맞춰 수소 투자를 늘리고 있지만, 정작 이를 바라보는 내부 시선은 곱지 않다. 새로운 이익 창출 수단으로 신사업이 필요한 것은 맞지만, 본업인 가스 산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기본이 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수소 사업이 실제 성과로 이어지기보다 본보기용 수단에 그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가스공사는 작년부터 가스 사업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국제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상승 여파로 난방비 대란이 벌어졌고 미수금도 계속 늘고 있다. 미수금은 가스공사가 해외에서 들여온 가스의 국내 판매 가격을 낮게 책정해 발생한 일종의 영업손실이다. 가스를 사실상 독점 수입하는 가스공사의 가격 협상력이나 수요 예측 역량에 대한 의구심도 꾸준히 제기돼왔다.
가스공사 노조는 최근 성명을 통해 “가스공사 정관과 법에 따르면, 공사는 가스를 장기적으로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해 국민 생활 편익을 증진하고 공공복리를 향상시켜야 한다”며 “수소, 바이오, 우주항공 등 공사가 추진하려는 모든 신사업은 가스 산업에 바탕으로 두고 이뤄져야 건실하게 이어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노조는 “지난 3년간 수소 사업과 관련해 부정적인 이야기를 꺼내면 적폐로 찍혀 인사이동 대상이 됐다”며 “수소 사업을 위해 현장 필수인력이 차출됐지만, 이렇다 할 실적을 증명하지도 못했다”고 했다. 또 “수소생산기지, 수소충전소 사업 등 정부로부터 예산도 제대로 편성 받지 못했고, 그린수소 수입은 기술적 검토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채 단순히 업무협약(MOU) 체결만 남발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에는 수소 개발사를 만난다는 목적으로 추진한 해외 출장이 외유성 의혹으로 기관 경고를 받기도 했다. 채희봉 전임 가스공사 사장은 보름간 호주 출장을 다녀왔는데, 비공식 관광 일정과 고급 차량 임차 계획 등이 포함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가스공사는 출장을 준비하던 실무진이 휴일 일정이 없을 때를 대비해 만든 자료로, 실제로는 관광을 하지 않았고 경영진 보고도 없었다고 소명했다.
한편, 가스공사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까지 쌓인 공사의 미수금은 약 9조원으로 추정됐다. 올해 안에 미수금을 모두 회수하기 위해서는 4월부터 가스 요금을 현재 요금의 3배 수준인 MJ(메가줄)당 39원 인상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미수금이 증가하면서 부채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2021년 말 기준 가스공사 부채비율은 430%대로, 지난해 말에는 500%대로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됐다.
권유정 기자(yo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