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물가 상승 폭 5.2%, 3개월 만에 폭 확대…근원물가, 14년 만에 최대
올해 상반기 공공요금 추가 인상…"임금인상→물가상승 악순환 위험"
3일 오전 서울 용산의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제품을 둘러보고 있다. 2023.2.3/뉴스1 ⓒ News1 권현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김유승 기자 = 지난해 말부터 둔화 양상을 보이던 물가 상승률이 공공요금 인상에 따라 3개월 만에 반등하며 지난 1월 5.2%를 나타냈다. 정부는 예상 수준에 부합한다며 차분한 반응이지만, 추가 공공요금 인상에 따라 물가가 정부의 예측 경로를 벗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1월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5.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7월 6.3%로 정점을 기록했던 물가상승률은 9월 5.6%, 11월과 12월 각각 5.0%로 떨어지면서 상승 폭이 둔화됐지만, 올해 첫 발표에서 다시 오름 폭이 커진 것이다.
특히 물가의 장기 추세를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 상승률은 1월 5.0% 올랐다. 이는 4.8%였던 전월보다 상승 폭을 확대한 것으로 2009년 2월(5.2%) 이후 약 1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1월 물가 상승 폭 확대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최근 전기요금 인상이 꼽히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전기요금을 3차례에 걸쳐 킬로와트시(kWh)당 19.3원 인상한 데 이어 올해 1월에는 13.1원을 한꺼번에 인상했다. 이에 따라 1월 전기·가스·수도 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8.3% 급등했는데,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치다.
통상 연초에 대대적인 가격 변동이 이뤄진다는 점, 설 명절 성수품을 중심으로 가격이 오른다는 점 역시 1월 물가 상승 폭 확대 원인으로 작용했다.
공공요금 인상에 지난해 말부터 차츰 둔화 양상을 보이던 물가상승률 폭이 다시 커졌지만, 관계 당국의 반응은 의외로 차분했다. 당국의 메시지는 물가 상승 폭이 커진 데 대한 경계의 반응보다는 예상 수준에 부합하다는 데 집중됐다.
추 부총리는 지난 3일 "전기요금 인상, 연초 제품가격 조정 등으로 전월보다 소폭 상승했으나, 당초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올해 전체의 물가 흐름을 보면 상반기의 경우 1분기에는 5% 내외로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2분기를 지나면서 상방압력이 다소 약해지고,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안정화되는 '상고하저' 흐름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이환석 한은 부총재보는 지난 2일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 가격 오름 폭이 축소됐으나 전기료 인상, 한파에 따른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 등으로 전월보다 다소 높아졌다"면서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당시 예상에 부합한다"고 했다.
하지만 1월 물가 흐름이 예상됐다고 하더라도 가볍게 볼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앞으로 예정된 가스·전기 요금 및 교통요금 등 공공요금 추가 인상 과정에서 물가가 정부의 예상 경로를 벗어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휘발유 등 에너지 가격이 낮아져 물가가 안정되다가 (공공요금 인상에) 다시 물가 오르고 있다"며 "정부가 (공공요금 인상 영향을) 예측했고, 이것이 이미 반영됐다고 될 문제가 아니다"라고 했다.
김 교수는 이어 "공공요금을 한 번 올리고 끝났으면 괜찮은데, 앞으로 지하철 요금 등 공공요금 추가 인상이 예상된다"며 "자칫하면 물가가 임금을 올리고 임금이 물가를 올리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도 1월 물가동향에 대해 "근원물가 상승률이 올랐다.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예상이 됐다고는 하지만, 물가 압력이 있으면 금리 인상이 가능성이 높아진다. 전체적으로 경기 부담은 크다"고 말했다.
정부는 최근 물가 흐름에 대해 '예상 수준'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이같은 위험을 인식한 듯 추가 물가 대책을 내놓고 있다.
추 부총리는 지난 3일 "최근 인상논의가 있는 지방 공공요금은 최대한 안정되도록 지자체별로 개별협의를 강화하고,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균특) 300억원, 특별교부금(특교) 200억원 등 재정인센티브 배분 차등 폭을 확대하겠다"며 "동절기 한파 등에 따른 농축수산물 가격불안이 나타나지 않도록 가격이 급등한 품목을 주간 단위로 선정해 20% 할인지원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ky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