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I는 디스플레이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부품이다. 그러다 보니 그동안 수직계열화나 폐쇄적 공급망 구축이 관행이었다. 삼성디스플레이에 삼성전자 시스템LSI가 가장 많은 DDI를 공급하고 LG디스플레이와 LX세미콘(구 실리콘웍스)이 협력해온 이유다.
![]() |
얇은 막대처럼 보이는 은색 부품이 DDI다. (자료=삼성전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산업계에는 보이진 않지만 아주 뚜렷한 '경계선'이 존재했다. 자기만의 독자적인 공급망 구축이다. 차별화가 명분이었으나 이는 독점적이고 배타적이었다. 줄 세우기로 인한 부작용은 적지 않았다. 국내 소재·부품·장비 업계에서 글로벌 기업이 나오기 힘든 이유 중 하나로 꼽힐 정도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X세미콘 협력은 그래서 주목된다. 기존 관행을 과감하게 깼기 때문이다. 양사 이해관계가 일치한 것이 기본 전제겠지만 서로 필요한 부분을 국내 기업 간 협력으로 채웠다.
코로나19 팬데믹과 미·중 갈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영향으로 세계 경제에는 자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 색채가 강해지고 있다. 자국 이익을 최우선 하는 경향이 그 어느 때보다 뚜렷하다.
이럴 때일수록 국내 기업 간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 스스로 할 수 있는 부분은 채워야 외풍에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2019년 일본 수출규제 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협력사와의 신속한 대처로 위기를 넘겼다. 한계를 뛰어넘는 협력 사례들이 계속 이어져야 할 시기다.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