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유튜브서 본 투자성공담 가짜였네…신기술 투자 유도 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사수신 업체들이 유튜브 등을 통해 허위 투자 성공 사례를 적극적으로 내세우는 수법을 쓰고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특히 예술품을 통한 재테그, 즉 아트테크나 대체불가토큰(NFT) 등 투자자에게 생소한 신종·신기술 분야를 앞세워 투자자를 유혹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불법사금융신고센터' 등에 접수된 유사수신 신고·제보 중 혐의가 구체적인 65건을 수사 의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대비 6.6% 증가한 것입니다.

금감원은 "가상자산 투자를 빙자한 수법은 감소했지만 부동산 등 일반 사업 투자를 빙자한 수법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주요 유사수신 유형을 살펴보면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 등을 통해 투자를 유도한 경우가 눈에 띕니다.

유사수신 업자가 투자 전문방송 혹은 부동산·주식투자 전문가를 가장해 유튜브 동영상 등을 통해 투자자에게 접근하고 '수개월 내 수익금 지급', '원금 보장' 등의 문구로 투자자를 현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과거 투자자의 경험담, 수익률 관련 인터뷰 영상을 허위로 제작해 투자자를 안심시킨 뒤 투자금을 가로채 잠적하는 수법을 사용했습니다.

아울러 고령층, 전업주부 등을 상대로 '부업 투자', '용돈벌이' 등의 키워드를 이용해 유사수신 투자를 유도한 사례도 다수였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미술품 판매·대여·전시나 NFT 투자를 통한 저작권료로 수익을 보장한다고 약속한 뒤 원금 및 수익금을 지급하지 않은 사례도 많았습니다.

신종·신기술 사업 특성상 투자자들이 실제 투자 여부, 투자 대상 미술품의 가치, 수익 창출 가능 여부 등을 검증하기 곤란한 점을 악용했습니다.

아트테크의 경우 유사수신 업자가 부유층을 대상으로 프라이빗 뱅킹(PB) 영업을 가장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첫 1~2개월은 투자금 돌려막기 등으로 수익금을 지급하다가 추가적인 투자자 모집이 어려워지면 수익금 지급을 미루며 잠적·폐업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지난해 시장 변동성 확대로 안전 투자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 점을 이용해 금 등 안전자산을 앞세운 사례도 잦았습니다.

유사수신 업자는 사설 거래 시스템을 만들고 피해자가 투자금을 입금하면 시스템상 실제로 금을 매입한 것처럼 표시하는 방식으로 투자자를 속였습니다.

보증 능력이 없는 업자가 발행한 지급보증서로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기도 했습니다.

금감원 등 공신력 있는 기관과 협약을 했다고 사칭한 사례도 다수였습니다.

금감원은 원금·고수익을 보장하는 경우 유산수신에 해당할 가능성이 크다며 투자자들의 주의를 촉구하고 투자 전 제도권 금융회사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달라고도 당부했습니다.

법적으로 원금이 보장되는 경우는 제도권 금융회사의 예·적금 등으로 매우 제한적이며, 투자성 상품의 원금이 보장되는 경우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유사수신 행위로 의심되면 경찰에 즉시 신고하거나 금감원에 제보할 수 있습니다.
신승이 기자(seungyee@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