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카카오모빌리티, 자율주행차·디지털트윈 연구소 ‘네모개러지’ 열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카카오모빌리티 네모개러지 개소식 사진. /카카오모빌리티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16일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에 자율주행과 디지털트윈 구축 등을 연구하는 네모개러지(Next Mobility Garage) 연구소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회사는 그동안 진행한 자율주행 이동체 연구와 디지털트윈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연구 설비·인력을 네모개러지로 통합해 인하우스 팩토리를 구축했다. 플랫폼 기술 개발을 넘어 미래 이동체와 인프라 등 하드웨어 개발로 연구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동시에 이동의 혁신을 이루기 위한 미래 모빌리티 엔드투엔드 솔루션을 제공한다.

네모개러지는 6개 층으로 구성된 연면적 2734m2 규모다. 3차원(3D) 프린팅팜과 인쇄회로기판(PCB) 프린터, 역설계 스캐너 등을 이용해 하드웨어 프로토타입과 부품 제작이 가능하다. 데이터 스토리지 인프라와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디지털트윈 팩토리도 갖추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와 지도 구축용 매핑 로봇의 성능 실험과 실내외 복합 측위기술 검증 등을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네모개러지를 통해 엣지 인프라, 자동차와 사물간 통신(V2X), 자율주차, 인프라 기반 자율주행 및 로보틱스 등 스마트 모빌리티 인프라 기술을 연구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목적 기반 모빌리티 자동차(PBV),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자동차(SDV) 등 스마트 모빌리티 개발로 연구 영역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정성욱 카카오모빌리티 장성욱 미래이동연구소장은 “자율주행 서비스 상용화와 생태계 구축을 주도해 온 카카오모빌리티가 플랫폼 기업 최초로 미래모빌리티 기술에 특화된 자율주행 및 디지털트윈 전용 연구소를 확보하게 됐다”라며 “미래이동기술과 디지털트윈에 대한 과감하고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혁신을 주도하고,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 기회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했다.

윤진우 기자(jiinwo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