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이슈 산업생산과 소비동향

산업 전반에 AI 심는다…“디지털전환해 생산 혁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업부 ‘산업 AI 내재화 전략’ 발표

2030년까지 AI 활용기업 30% 목표

4000억 규모 디지털혁신 펀드 조성

불필요한 규제 선제적 발굴 개선키로

[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정부가 글로벌 산업경쟁 환경에서 단순 생산성 증대를 넘어 인공지능(AI) 중심의 디지털전환(DX)을 통해 생산방식 혁신을 위한 지원에 나선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대한상의에서 제1차 산업 디지털 전환 위원회를 열고 ‘산업 AI 내재화 전략’을 발표했다. AI 기술을 산업 전면에 적용해 산업 대전환을 추진, 2030년까지 AI 활용기업을 현재 1%에서 3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수요-공급기업간 협력모델을 통해 AI 내재화하고 공급산업을 육성 △잠재력을 갖춘 수요기업의 AI 활용 역량 강화 △민간 주도의 지속 가능한 DX 생태계 조성 등의 전략을 추진한다.

먼저 AI 내재화 전략으로 ‘산업 AI 솔루션 상용화 프로젝트’를 새로 추진한다. 이는 공급기업의 AI 솔루션을 수요기업의 실제 제조 공정에 적용하는 수요 연계형 작업이다. 이를테면 자동차를 생산하는 A사가 AI 솔루션개발 업체인 B사에서 AI 솔루션을 적용한 최적 용접점이나 자동차 로봇 경로 정보 등을 제공받고 이를 생산라인에 그대로 적용한다.

이데일리

수요 연계형 AI 상용화 프로젝트.(자료=산업부)


정부는 산업에 영향이 큰 AI 상용화 프로젝트는 성공모델 창출과 확산을 위해 국가 선도사업으로 선정해 집중 지원하고 관리한단 방침이다.

또한 수요기업의 AI 활용 역량을 강화한다. DX 추진 역량과 의지가 있는 기업을 중견, 중소에서 각 500여 개 사를 선별하고 이들 기업에는 전사적 DX 역량을 분석해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한다. 시범사업으로 오는 2025년까지 270억원을 투입해 전사적 DX 전략 수립을 지원할 계획이다.

중소·중견 기업의 디지털 전환 작업을 돕기 위한 투자 확대에도 나선다. 먼저 설비투자 등의 자금 지원을 위한 4000억원 규모의 산업 디지털 혁신 펀드를 조성하고 운영한다. AI 융합 연구개발(R&D)은 정부 R&D의 민간부담금 비중과 현금부담 비중 완화를 검토한다. 민간부담금은 현행 중견기업 기준 50%에서 30%로 줄이고 현금부담 비중은 50%에서 13%로 완화한다.

마지막으로 민간 주도의 DX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 컨설팅부터 수요-공급기업 매칭, 성공사례 확산까지 원스톱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제품·서비스 사용 단계에서 발생하는 산업데이터를 수집·활용하기 위한 산업 마이데이터 플랫폼 구축한다. 산업 마이데이터는 개인이 본인 정보를 적극 관리, 통제하고 이를 원하는 서비스에 주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산업 분야에 디지털기술과 운행데이터, 날씨 데이터 등을 입혀 성능개선 지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부는 또 DX를 방해하는 규제와 불필요해진 규제를 선제적이고 지속적으로 발굴해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범부처 차원에서 발굴해 조치 중인 과제중 산업 DX 관련 규제 57건과 산업부·유관기관 추가조사를 통해 발굴된 규제 5건 등 총 62건의 규제를 개선하고 있다.

앞으로도 업종별 규제혁신 로드맵과 연계해 선제적으로 규제를 개선하고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해 실증한다는 계획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