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동아시아 영토·영해 분쟁

대만, 실효지배 남중국해 타이핑다오 개조공사 연내 완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74억원 투입 항만준설·부두 개조 프로젝트…'세력 확장'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대만이 실효 지배 중인 남중국해의 타이핑다오(太平島·영문명 이투 아바) 개조 공사를 연내에 완공할 계획이라고 대만 연합신문망이 10일 보도했다.

대만은 '타이핑다오 항만 준설 및 부두 개조 프로젝트'라는 명칭으로 16억4천842만 대만달러(약 674억 원)를 들여 지난 2020년부터 공사를 벌여왔다.

연합뉴스

준설 및 부두 개조 사업 중인 타이핑다오
[대만 연합신문망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대만 당국이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있으나 100t급 경비정 등 소형 선박용 바람막이 공사, 4천t급 호위함 정박 지원 시설 등의 공사도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미국 측의 사전 동의를 받아 활주로 확장 공사도 하고 있다.

타이핑다오의 기존 활주로 길이는 1천150m이며, 공사 완료 후 1천500m로 늘어나 필요할 경우 군용기의 이착륙이 용이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 섬에는 당초 시계 비행(VFR)이 가능한 간이 활주로가 설치된 수준이었지만, 수년 간 공사로 항공등화(유도등) 등이 설치돼 야간 이착륙도 가능하다.

C-130 군용 수송기 2대를 수용할 수 있는 격납고와 저유탱크 2개 등 주유 관련 설비를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타이핑다오는 대만에서 약 1천500km 떨어진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제도(중국명 난사군도<南沙群島>)에서 가장 큰 섬으로 1950년대부터 대만군이 담당하다가 2000년대부터는 해순서(해경)가 관할하고 있다.

난사군도는 남중국해 보르네오섬 북쪽에 있으며, 베트남·중국·필리핀·말레이시아 등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쯔엉사 군도, 필리핀에서는 칼라얀 군도로 부른다.

중국은 이 군도에 인공섬을 만들어 군용 활주로와 항구를 설치했다.

이런 가운데 타이핑다오 개조 공사를 계기로 대만도 세력 확장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국은 남중국해를 공해로 규정하고 '항행의 자유'를 강조하면서 수시로 정찰기와 군함을 보내고 있으며, 이에 중국이 맞서면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달 21일에도 남중국해 상공에서 작전 중이던 미 공군 RC-135 정찰기가 중국 해군 J-11 전투기가 약 6m까지 근접 비행하는 위협을 가하기도 했다.

앞서 작년 11월 29일 중국 인민해방군 남부전구 톈쥔리 대변인은 "미국 미사일 순양함 챈슬러즈빌이 중국 정부의 비준을 거치지 않고 중국 난사군도 인근 해역에 불법으로 침입했다"면서 "해군과 공군 병력을 동원해 쫓아냈다"를 성명을 낸 바 있다.

연합뉴스

[그래픽]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지역
[연합뉴스 DB]


kjih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