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 ‘리빙시어터’와 ‘마방진’ 배우들이 연극 ‘로제타’의 한 장면을 연습하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실험주의 연극으로 유명한 미국 뉴욕의 극단 ‘리빙시어터’가 한국을 처음 찾는다. 선교사 로제타 셔우드 홀(1865~1951)의 삶을 다룬 연극 ‘로제타’를 한국 극단 마방진과 함께 13일부터 이틀간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공연한다.
김정한 연출가는 지난 6일 기자간담회에서 “25살에 타지에 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애쓴 한 사람의 삶을 조명하는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김 연출이 로제타를 처음 만난 곳은 홀의 생전 흔적이 남겨진 마포구 양화진 성지다. 그는 “남편과 어린 딸이 죽은 뒤, 로제타가 ‘나 길을 모르겠으니 하느님 도와주소서’라고 쓴 일기를 보고 눈물이 났다”고 연극을 만들기로 결심한 이유를 설명했다.
리빙시어터와 공동제작은 김 연출이 협업을 제안해 결정됐다. 그와 브래드 버지스리빙시어터 대표는 함께 연극을 만들었던 동료다. 그는 “리빙시어터는 전쟁을 반대하고 월스트리트의 탐욕을 비판하는 연극을 만들어왔다”며 “로제타의 삶은 인류애와 사회 참여 연극을 강조하는 리빙시어터의 철학과 맞닿아있다”고 설명했다. 리빙시어터는 1947년 배우 줄리언 벡·주디스 말리나 부부가 설립했다. 파격적인 형식과 개혁적인 주제를 담은 작품들로 당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알 파치노, 로버트 드니로 등 명배우가 거쳐서 갔고, 1960년대 미국 전위극의 기틀을 다졌다. 이번에 배우 겸 예술감독으로 참여하는 버지스 대표는 “선교사의 삶을 다뤘지만, 고난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고 말했다.
구한말 시기 44년간 한국의 여성 교육과 의료 구호에 헌신한 선교사 로제타 홀. [사진 문화재청] |
로제타는 구한말 한국에서 활동한 미국 출신의 여성 선교사다. 1894년 평양에 국내 첫 맹학교인 평양여맹학교를 설립했고, 여성 치료소인 ‘광혜여원’을 여는 등 소외된 여성에게 의료 서비스와 교육 등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힘썼다. 남편 사후에도 한국에 머물며 44년간 헌신했다.
작품에는 리빙시어터의 실험주의적 스타일이 녹아 있다. 8명의 배우가 배역 구분 없이 돌아가며 로제타를 연기한다. 한 배우가 갓난아이를 치료하며 쩔쩔매는 로제타를 연기할 때, 옆에서 다른 배우는 “왜 치료가 안 되지”라고 로제타의 내면을 연기하는 식이다. 미국 배우가 영어로 연기하면, 내면을 연기하는 배우가 한국어 설명을 곁들인다. 또 몸짓과 음악으로 감정을 표현해 언어 장벽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이번 연극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국제 공동 창작 프로젝트 일환이다. 시범 공연을 선보인 뒤 관객·전문가 평가를 거쳐 본 공연 제작 여부가 결정된다.
홍지유 기자 hong.jiyu@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