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물가와 GDP

"봄오면 물가 잡힌다"...정부가 자신하는 3가지 이유 [세종썰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세종=유선일 기자] [편집자주] [세종썰록]은 머니투데이 기자들이 일반 기사로 다루기 어려운 세종시 관가의 뒷이야기들, 정책의 숨은 의미를 전해드리는 코너입니다.

머니투데이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는 설 민생안정대책과 2023년 재정 신속집행 계획 등이 논의됐다. 2023.01.04.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전체로 보면 물가는 하향 안정세가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당분간은 상방압력 지속으로 고물가가 이어질 것이다." (1월 4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비상경제장관회의' 모두발언 중)

정부가 올해 물가 안정을 자신한다. 정부는 4일 발표한 '설 민생안정대책'에서 "물가는 향후 안정될 전망이나 당분간은 높은 수준이 예상된다"고 했다. '당분간'은 '동절기'라고 아예 못 박았다. 월별 5%대의 높은 물가상승률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도 정부가 올해 물가 안정을 예상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다.

첫째, 지난해 물가 고공행진을 주도했던 국제 원유·곡물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연간 물가상승률은 5.1%로 외환위기가 있던 1998년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았다. 품목별 기여도를 살펴보면 석유류가 포함된 공업제품과 농축수산물이 각각 물가를 2.39%포인트(p), 0.33%p 끌어올렸다. 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으로 국제 원유·곡물 가격이 급등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한국석유공사의 '오피넷'에 따르면 국제유가는 지난해 3월 9일 배럴당 127.86달러(두바이유 현물 가격 기준)까지 뛰었지만 올해 1월 3일 기준 82.07달러로 우크라이나 전쟁 발생 전 수준(2022년 1월 3일 배럴당 76.88달러)에 근접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5월 톤당 400달러 이상으로 치솟았던 국제 밀 선물 가격(시카고선물거래소 기준)은 올해 1월 3일 289.94달러를 기록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3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유가·곡물가격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2022년보다 낮아지고 수요측 상방압력도 완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세종=뉴스1) 김기남 기자 =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에 참석하여 무거운 표정으로 회의를 준비하고 있다. 2022.1.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둘째, 지난해 물가 고공행진에 따른 기저효과도 정부가 올해 물가 안정을 기대하는 이유다. 통계청이 집계·발표하는 물가상승률은 전년과 비교한 수치라 물가가 급등한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는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낮게 나오기가 쉽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2020년=100)는 1월 104.69로 시작해 12월 109.28까지 높아져 연간 107.71을 기록했다. 2021년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102.50이었다. 정부는 설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하면서 올해 물가 안정이 예상되는 이유 중 하나로 직접 '2022년 기저 영향'을 언급하기도 했다.

셋째, 정부는 정책 효과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정부는 2023년 경제정책방향에서 "당분간 물가 안정에 정책 중점을 두겠다"며 유류세 37% 인하 연장 등 관련 대책을 발표했는데 이런 조치가 최근 물가 오름세 둔화와 맞물려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설 연휴를 앞두고 성수품을 중심으로 물가가 뛸 것으로 보고 향후 약 3주 동안 20만8000톤의 성수품을 공급하고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에 3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그러나 정부의 기대하는대로 겨울 이후 물가가 안정세를 찾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계속되고 있어 국제 원유·곡물 가격의 안정세 지속을 장담하기 어렵고 또 다른 돌발변수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올해 예정된 전기·가스요금 인상, 주요 먹거리·생필품 가격 인상 움직임도 물가 전반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정부는 '설 민생안정대책'에서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도 정점을 지나는 모습"이라고 밝혔지만 수치상 이를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농산물·석유류제외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9월 4.5%에서 10월 4.8%로 오른 후 11·12월 모두 동일한 4.8%를 기록했다.

세종=유선일 기자 jjsy83@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