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軍 무인기 대응에 '속도전'… 스텔스 무인기 연내 개발·드론 킬러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형 무인기 연내 대량 양산 체계도 구축
킬러 드론 체계도... 전력화 시점은 미정
한국일보

지난달 29일 경기 양주 가납리 비행장 일대에서 북한 소형 무인기 도발 상황을 가정한 합동방공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양주=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군 당국이 합동드론사령부 조기 창설 등 북한 무인기 대응을 위한 속도전에 나섰다. 지난달 26일 북한 무인기 5대의 영공 침범 이후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 검토 등 윤석열 대통령의 공세적 대응 방침에 적극 보조를 맞추겠다는 취지다.

4일 국방부에 따르면, 군은 감시·정찰과 전자전 등 다목적 임무를 수행하는 합동드론사령부를 조기에 창설할 계획이다. 윤 대통령이 창설을 지시한 드론부대가 사령부 형태로 꾸려지는 것으로, 사령부와 관할 부대는 육·해·공군, 해병대가 합동으로 참여해 구성될 전망이다. 군 관계자는 "드론사령부의 작전 운용 개념이나 지휘 구조, 편성, 전력 등을 종합 검토해서 추진할 예정"이라며 "필요한 검토 과정은 많지만 이른 시일 안에 창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소형 무인기의 대량 양산체계 구축과 스텔스 무인기 개발을 연내 마무리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소형 무인기와 스텔스 무인기는 레이더로 탐지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는 중대형 무인기 개발에 집중해왔으나, 확보된 기술을 활용해 최대한 빠른 시간 내 소형 무인기 개발에 나서겠다는 게 군의 목표다. 적의 드론을 잡는 '킬러 드론' 체계도 신속히 개발한다. 적의 드론을 레이저빔이나 총기 발사, 그물망 투하 등의 방식으로 추락시키는 체계를 말한다.

군 당국은 소형 무인기 양산과 스텔스 무인기의 개발과 관련해 '연내'라는 목표 시점을 밝혔지만, 구체적인 계획표나 예산 마련책, 전력화 시점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로 나온 국방부 대책이 "맥을 잘못 짚었다"는 비판도 나온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투는 북한군의 전술전략을 제대로 이해 못 해 허를 찔린 게 핵심"이라며 "군이 무기 개발 등에 주력하는 건 맞지 않다"고 말했다.

공세적 대응책에 주력한 반면, 뚫린 방공망을 손보는 데는 상대적으로 신경을 쓰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군 관계자는 "북한 무인기를 탐지·식별해 추적한 뒤 요격하는 체계를 보완하는 게 가장 중요하지만, 동시에 공격적 부분도 추진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레이더로 탐지하는 동시에 어떤 물체인지 식별하고, 다수의 항적을 동시에 추적하며, 저공비행까지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겠다는 게 군의 계획이다.

또한 기존 지상 대공무기와 탐지 자산의 정보가 연계되지 않았던 점을 감안, 무인기 표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운용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한다. 다만 기존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개·보수가 필요한 만큼 적지 않은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도 방어체계 정비 완료 시점에 대해 "여건하에서 최대한 노력하겠다"고만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