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최종 단계 개발 시험 마쳐
김정은 “최단기간 내 첫 발사”
남 “내년까지 5기 순차 도입”
초소형 정찰위성 개발도 박차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지난달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 단계의 중요 시험을 했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개발에 가속페달을 밟으면서 올해 남북 간 정찰위성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신년사를 대체한 노동당 전원회의 보고에서 “최단기간 내 첫 군사위성을 발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국가우주개발국은 지난달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위성시험품을 운반체(로켓)에 탑재해 고도 500㎞까지 고각 발사한 뒤 위성촬영 및 자료전송 계통과 지상관제 체계 능력을 평가하는 최종 단계의 정찰위성 개발 시험을 했다고 밝혔다. 올해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내겠다는 목표도 발표했다. 김일성 주석의 생일(태양절·4월15일) 같은 기념일 전후로 첫 군사위성을 발사해 전술핵, 전략핵과 함께 ‘북한판 3축 체계’를 구축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국은 중·대형급 고해상도 정찰위성 5기를 2024년까지 도입하는 내용의 ‘425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찰위성은 사전에 적의 도발 징후를 실시간 정확히 감시·탐지할 수 있는 핵심 자산으로 꼽힌다. 군은 그간 독자 정찰위성이 없어 대북 위성정보 80% 이상을 미국 등 해외 정찰자산에 의존해왔다.
정부는 1조3050억원을 투자한 425사업을 통해 한반도와 주변을 감시하는 정찰용 영상레이더(SAR)위성 4기와 전자광학(EO)위성 1기를 발사할 예정이다. 올해 말 1호기 발사를 시작으로 5기가 순차적으로 전력화되면 북한 전역을 거의 실시간으로 촘촘히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 이 정찰위성들은 지상 30㎝ 크기 물체까지 식별이 가능해 북한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움직임을 정밀 감시하는 ‘눈’ 역할을 해낼 것으로 군은 기대한다. 북한의 핵·미사일 등의 공격 징후를 미리 탐지해 선제 타격하는 ‘킬체인’ 능력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초소형 정찰위성도 올해 11월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 30㎝급 정찰위성 5기로는 북한을 24시간 감시하기 어렵다. 한반도 상공을 지나갔다 돌아오는 재방문 주기가 2시간이기 때문이다. 무게가 100㎏ 미만인 초소형 정찰위성은 1기당 제작 비용이 대형 위성의 30분의 1에 불과하다. 위성 수십 기를 쏘아올려 동시에 운영할 수 있어 재방문 주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해상도는 510㎞ 상공에서 1m 크기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도다. 이동식발사대(TEL)를 비롯한 긴급 표적을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다.
박은경 기자 yama@kyunghyang.com
▶ 플랫이 선정한 2022년 올해의 여성은 누구일까요?
▶ 이태원 참사 책임자들 10시간 동안의 타임라인 공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