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8 (화)

이슈 물가와 GDP

내년 물가상승 요인 산적…경기 부진·서민 시름 깊어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기·가스·지하철·버스요금 인상 줄예고…"물가 하락 속도 더뎌"

고물가 장기화 땐 금리인상 가속…고금리·저성장에 소비 여력도 축소

연합뉴스

서울 한 대형마트 농산물 코너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반년 넘게 5% 이상의 고물가가 이어지는 가운데 내년에도 물가는 고공행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가스 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이 줄줄이 예정돼 내년에도 물가의 오름폭이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고물가에 고금리가 유지되고 저성장까지 예고되면서 내년 체감 경기는 한층 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전기·가스·지하철·버스요금 인상 줄예고…"물가 하락속도 더뎌"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5.0% 올랐다.

5% 이상의 물가 상승률은 지난 5월(5.4%)부터 8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물가 상승세가 지난 7월(6.3%)을 정점으로 점차 둔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올해 연간으로 물가는 작년보다 5.1% 상승해 외환위기 때인 1998년(7.5%) 이후 24년 만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연간 물가 상승률은 2019년 0.4%, 2020년 0.5%로 통계 작성 이후 처음 2년 연속 0%대에 머물렀으나, 작년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수요 회복 영향으로 10년 만에 최고치인 2.5%를 기록했고 올해는 작년의 두 배를 넘어 5%대까지 치솟았다.

문제는 내년에도 상당 기간 고물가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연합뉴스

[그래픽] 소비자물가 추이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07.71(2020년=100)로 작년보다 5.1% 올랐다. 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정부가 이날 발표할 전기·가스요금 인상안은 내년 물가에 주요한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한국전력의 적자와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이 누적되면서 상당 폭의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이는 이미 고공 행진 중인 물가를 더 부채질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올해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12.6% 상승해 별도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가장 높았다.

전기료가 12.9%, 도시가스가 15.8% 각각 올랐다.

산업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한국전력공사 경영 정상화 방안에 따르면 내년 전기요금 인상 적정액은 kWh(킬로와트시)당 51.6원으로 산출돼 올해 인상액(kWh당 19.3원)보다 2.7배 높다.

올해 전체 물가 상승률(5.1%)에 대한 전기·가스·수도의 기여도는 0.41%포인트였는데 내년에는 이보다 더 크게 물가 상승 폭을 키울 수 있는 것이다.

연합뉴스

서울의 한 식당가 가스ㆍ전기 계량기 [연합뉴스 자료사진]



전기·가스요금뿐만 아니라 다른 공공요금도 인상이 줄줄이 예고됐다.

서울시는 이르면 내년 4월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을 8년 만에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카드 기준으로 지하철 요금이 1천250원에서 1천550원, 시내버스 요금이 1천200원에서 1천500원으로 각각 300원씩 오를 예정이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이 예정돼 있어서 (물가) 하락 속도가 기대보다는 더딜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 고물가 때는 긴축 기조 유지…고금리·저성장에 소비 여력도 축소

고물가가 이어질 경우 중앙은행의 긴축 기조도 유지될 수밖에 없다.

주요 기관의 전망을 보면 정부는 내년 물가 상승률을 3.5%, 한국은행은 3.6%,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3.2%로 각각 내다보고 있다.

이는 모두 한은이 목표로 하는 물가 안정 목표 2%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내년 중 물가상승률이 상고하저 흐름을 나타내면서 점차 낮아지더라도 물가 목표 2%를 웃도는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이라며 "물가에 중점을 둔 통화정책 운영을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금리의 지속은 가계의 이자 부담을 키우는 요인이다. 자산 가격 하락 등을 초래해 소비 여력은 더 축소될 수도 있다.

연합뉴스

서울 시중 은행에 주택담보대출 안내문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안 그래도 1%대의 저성장과 고물가가 예고된 상황에서 가계의 살림살이는 더욱 팍팍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통계청의 3/4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실질 소득은 1년 전보다 2.8% 줄어드는 등 고물가와 고금리의 여파가 이미 나타나는 모습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잠재성장률이 2% 안팎이고 (내년) 그보다 낮은 성장이 전망되기 때문에 현실경제 체감은 더 어렵게 느끼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encounter24@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