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서울의 한 대형마트
올해 소비자물가가 5% 넘게 오르며 외환위기 이후 2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석유류를 비롯한 국제 원자재 가격이 치솟으며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습니다.
특히 서민 체감이 큰 외식 물가는 30년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이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월과 같아 8개월째 5%를 웃돌았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07.71(2020년=100)로 작년보다 5.1% 올랐습니다.
이는 외환위기 때인 1998년(7.5%) 이후 24년 만의 최고치입니다.
연간 물가 상승률은 2019년 0.4%, 2020년 0.5%로 통계 작성 이후 처음 2년 연속 0%대에 머물렀으나, 지난해에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수요 회복에 10년 만에 최고치인 2.5%를 기록했습니다.
이후 올해는 연간 물가 상승률이 작년의 두 배를 넘어 5%대까지 치솟았습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 동향 통계심의관은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는 둔화했지만 가공식품과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개인 서비스, 전기·수도·가스 가격이 오르면서 연간 상승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6.0% 올랐습니다.
역시 1998년(11.1%) 이후 최고치입니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4.1% 올라 2008년(4.3%)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6% 올랐습니다.
올해는 연초부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이 치솟으면서 물가가 전방위적으로 크게 상승하는 모습이었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올해 공업제품이 6.9% 올랐습니다.
이 가운데 석유류가 22.2% 올랐는데, 이는 1998년(33.4%)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가공식품도 7.8% 상승했습니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압박에 전기·가스·수도는 12.6% 상승해 별도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농축수산물은 3.8% 오르면서 전년(8.7%)보다는 오름폭이 다소 둔화했습니다.
개인 서비스 상승률은 5.4%로 1996년(7.6%)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특히 외식 물가는 7.7% 올라 1992년(10.3%)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공공서비스는 0.8% 올랐습니다.
올해 물가 상승률은 1월 3.6%에서 시작해 5월 5.4%, 6월 6.0%, 7월 6.3%까지 가파르게 오른 뒤 점차 둔화하는 양상입니다.
그러나 전기·가스요금 인상 등으로 물가 오름세는 쉽게 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달 소비자물가는 5.0% 올라 전월(5.0%)과 같았다.
지난 5월부터 8개월째 5% 이상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12월에는 전기·가스·수도가 23.2% 올랐습니다.
가공식품은 10.3% 올라 2009년 4월(11.1%) 이후 가장 크게 올랐다.
식품 원료인 국제 곡물 가격과 원유(原乳) 가격이 올라가며 출고가가 인상된 영향입니다.
외식(8.2%) 물가는 여전히 8%대를 웃돌았으나 전월(8.6%)보다는 상승률이 내렸습니다.
품목별로는 닭고기(24.2%), 양파(30.7%), 고등어(9.1%) 등이 많이 올랐고 경유(21.9%)나 등유(43.0%)도 여전히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도시가스는 36.2%, 전기료는 18.6% 각각 올랐습니다.
어 심의관은 "가공식품과 석유류 등 공업제품의 오름세가 확대됐지만, 외식 중심의 개인 서비스 가격의 오름세가 둔화하면서 지난달과 같은 상승률을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이홍갑 기자(gaplee@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