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북한 무인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북한 무인기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드론부대 조기 창설 방침을 발표한 데 이어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국방중기계획에 포함시켰다. 무인기를 본격적으로 확보하고 전력화한다는 의지다. 그러나 업계에선 무인기를 원활하게 운용하기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있다고 보고 있다.
국방부는 28일 '2023~2027 국방중기계획'을 통해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전투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AI(인공지능) 기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유·무인복합전투체계는 사람이 탑승·조종하는 유인 플랫폼과 드론, 로봇 등 무인 플랫폼을 통합 운용하는 무기체계로 미래전장의 게임체인저로 불린다.
국방부는 제대·고도별로 감시정찰 무인기(UAV)를 확보해 핵심표적에 대한 감시능력을 향상시키고, 지형적 조건을 극복한 원활한 지휘통제가 가능하도록 전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전력화된 고고도 무인기(HUAV)를 포함해 중고도 UAV(MUAV), 군단급 UAV 등 부대 규모와 용도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를 다수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AI 기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전력화가 확대될 수 있도록 정보융합·전역상황 인지 기술, 군집 드론봇 운용통제 기술 등 관련 핵심기술도 미리 준비한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전날 국무회의에서 북한 무인기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드론부대 조기 창설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합동참모본부는 2018년 10월 창설한 육군 드론부대인 '드론봇 전투단'을 확대 개편할 전망이다. 육군은 2027년까지 기동·신속대응사단 등 주요 부대, 2030년까지 전 제대에서 드론을 활용한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번 조치에 따라 목표 시기가 앞당겨지고 규모도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한국군은 아직 유무인 복합체계 개발 초기 단계로, 운영개념부터 정립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현재는 육·해·공 각 군에서 운영개념 정립도 별도로 추진하고 있는데 유무인 복합체계가 잘 운영되기 위해선 운영개념을 통합해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무인기 대응체계도 비슷한 문제점이 제기됐다. 지난 26일 북한 무인기가 침범했을 때도 육군과 공군으로 대응이 이원화돼 소통이 어려웠고, 대응이 늦어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따라 합참은 육군과 공군의 타격자산을 지역별로 통합해 운영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공군 KA-1 경공격기와 육군 아파치 헬기(AH-64)와 500MD 헬기, 지상 요격무기체계를 운용하는 지역에서 패키지화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유무인 체계 간 융합 및 통합도 시급하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합동참모본부(합참)나 각 군에서 연구과제를 통해 유무인 복합체계를 발전시키고 있는데 통합 개념이 없으면 각 체계가 중복될 수 있고 통합성에도 많은 문제가 생긴다"며 "육군의 경우 물자체계, 수송체계, 장비체계가 따로 있어 데이터베이스 통합도 힘든데 이런 부분을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속획득시범사업을 통해 헬기와 무인기를 함께 운용하는 유무인 복합체계 적용도 서둘러야 한다. 무인기를 대응할 때 헬기에서 소형 다목적 무인기를 발사하면 추적, 공격 등이 훨씬 수월해진다. 지상에서 무인기를 발사할 경우 적의 무인기를 탐지·추적하는 데 한계가 있다. KAI는 수리온 및 소형무장헬기(LAH)에 대한 유무인 복합체계(MUM-T)를 제안했지만 아직 신속획득시범사업 대상이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헬기에 대한 유무인 복합체계 운용이 성숙화 되면 향후 한국형 전투기 KF-21 보라매와 무인기 간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선 무인기의 수량을 늘리고 노후화된 무인기도 교체해야 한다고 본다. 군에서 사용 중인 서처는 1999년에 도입했고 송골매는 2002년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무인기는 추락률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민경 기자 eyes00@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