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4 (목)

이슈 전세계 코로나 상황

3년 만에 ‘위드 코로나’ 택한 중국…내년 설 ‘확진자 폭증’ 고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지난 23일 중국 상하이 징안구에서 한 간호사가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는 동안 기다리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3년 가까이 이어온 ‘제로(0) 코로나’ 정책에 마침표를 찍고 결국 ‘위드 코로나’로 돌아섰다.

중국 정부는 다음 달 8일부터 거국적인 코로나19 감염 예방 조치 완화에 들어간다고 26일 발표했다. 코로나19 공식 명칭을 ‘신형 코로나형 바이러스 폐렴’에서 ‘신형 코로나형 바이러스 감염’으로 변경한다. 명칭에서 폐렴을 삭제하기로 한 것이다. 코로나19에 대한 방역 대책 수준도 갑에서 을로 낮추고 확진자 격리도 하지 않기로 했다. 국경도 다시 개방한다. 해외 입국자 시설격리를 없애고, 핵산(PCR) 검사도 하지 않기로 했다.

중국 정부는 2020년 1월 코로나19 첫 사망자가 발생한 이후 우한 지역 긴급봉쇄를 시작으로 약 3년간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했다. 확진자가 한 명만 발생해도 주거지역을 봉쇄하고, 주민들을 대상으로 여러 차례 전수 핵산 검사를 시행했다. 등교·출근·쇼핑 등 대부분의 일상생활에서 24~48시간 내 받은 PCR 검사 음성 증명서를 요구하는 등 엄격한 방역 정책을 폈다.

세계 각국이 1년여 전부터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완화해 일상으로 복귀하기 시작한 후에도 중국의 제로 코로나 원칙은 변함이 없었다. 지난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 지난 10월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 개최를 앞두고 제로 코로나 드라이브는 이어졌다.

하지만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정치·경제적 피로도는 갈수록 커졌다. 당대회 개막 며칠 전 베이징 고가도로에 제로 코로나 반대 현수막이 걸렸으며, 11월 강력한 봉쇄 정책이 피해를 키운 신장 우루무치 아파트 화재 사고 이후 전국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에 반대하는 ‘백지시위’가 확산됐다. 봉쇄 정책에 대한 사회적 저항이 더는 억누를 수 없는 수준으로 커진 것이다.

더 큰 문제는 경제였다. 제로 코로나 정책에 짓눌린 경제에 빨간 불이 들어왔다. 지난 11월 중국의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8.7% 감소했다.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시작한 이후 최대 감소였다. 정부가 제시한 올해 목표 성장률 5.5% 달성도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2023년 경제 환경 개선을 위해 위드 코로나로의 전환은 불가피했던 셈이다. 더이상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감수하며 봉쇄 중심의 제로 코로나 정책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 것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10일 정밀방역을 강조한 이후 국무원이 방역 최적화 방침 20가지를 발표하면서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전환은 시작됐다. 이어 지난 7일 국무원은 ‘진일보된 코로나19 방역·통제 최적화에 관한 통지’를 통해 10개 항의 방역 최적화 조치를 추가로 내놨다. 감염자의 자가 격리를 허용하고, 이동 제한을 완화하고, 해외 입국자 격리 기간도 단축하며 위드 코로나로의 전환을 예고했다. 이번 조치는 그 연장선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실상 제로 코로나에 마침표를 찍고 위드 코로나의 시작을 알리는 조치인 셈이다.

경향신문

지난 21일 중국 허베이성 바오딩시에 있는 한 병원에서 환자들이 침대에 누워 있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제는 준비 안 된 위드 코로나 전환으로 인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급격한 방역 완화 이후 중국에서는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고 있다. 당국은 일일 통계 발표를 포기했지만 하루에 최대 3500만명, 한달 사이에 2억5000만명이 감염됐을 것이란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중증 환자가 급증하면서 100만명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3년 전 코로나19 발생지로 중국을 주목했다면 세계는 이제 인구 14억 거대국가 중국의 위드 코로나 연착륙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전환 발표가 나온 이날 국제 유가는 강세를 보였고 중국 등 아시아 증시도 상승했다.

당장 내년 1월 22일 춘제(春節·설)를 계기로 농촌에서의 감염 확산을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느냐가 1차 고비가 될 것으로 관측통들은 보고 있다. 또 중국이 중증화 방지 효과 등에서 서구 제약사의 메신저 리보핵산(mRNA) 계열 백신보다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아온 자국산 백신 고수 정책을 전환할지도 관심을 끈다.

김혜리 기자 harry@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이태원 참사 책임자들 10시간 동안의 타임라인 공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