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취업과 일자리

청년고용 21개월만에 꺾여…취업자 증가폭 6개월째 둔화(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세종=손선희 기자] 지난달 취업자 수가 60만명 이상 늘었지만, 증가폭은 지난 5월 이후 6개월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하반기 들어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된 가운데 대표적 경기 후행지표로 꼽히는 고용지표에도 점차 반영되는 모습이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총 2842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2만6000명 늘었다. 늘어난 취업자 수의 절대 규모는 같은 달 기준 1999년(121만7000명 증가) 이후 23년 만에 최대 폭이다. 15세 이상 고용률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포인트 오른 62.7%를 기록하면서 1982년 7월 월간 통계를 작성한 이래 11월 기준 최고치를 나타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지난달 고용지표는 '단면'만 보면 양호한 모습이다. 코로나19 사태 당시 급격히 나빠졌던 고용시장은 지난해 3월 이후 기저효과를 동력 삼아 강하게 반등했고 여전히 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추이를 살펴보면 연초까지 이어져 온 '고용 활황'에 비하면 그 회복세가 점차 꺾이는 모습이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지난 5월 93만5000명을 기록한 이후 지난달까지 6개월 연속 둔화하고 있다. 전월 대비 취업자 수 증가폭이 6개월째 감소 추세를 보인 것은 과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특히 연령대별로 고용 양상이 크게 갈렸다. 지난달 늘어난 취업자의 4명 중 3명(약 76%)은 ‘60세 이상’ 고령층이었다. 청년층(15∼29세)은 되레 5000명 줄어 21개월 만에 감소 전환하는 등 고용상황이 녹록지 않았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취업자 증가세를 이어나가고 있으나 증가폭은 둔화했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모두 감소했다"며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꺾여가는 상태고, 도·소매업과 운수·창고업도 (취업자 수 증가폭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고용지표는 경기 흐름에 뒤따라 움직이는 만큼, 올 하반기부터 이어진 경기 둔화 영향을 뒤늦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고용시장 전망에 대해 "기저 영향이 마이너스(-) 요인으로 확대 작용하는 가운데 고물가, 금리 인상, 수출 부진 등 하방 요인이 상존한다"며 "내년은 경기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취업자 증가폭 둔화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경기둔화가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민생지원 및 민간 중심 일자리 창출에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세종=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