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8 (토)

석유화학 기술개발 2030년까지 1858억 투입…1조 매출 20개 정밀화학 기업 육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오는 2030년까지 석유화학 핵심기술 개발에 1900억원을 투입한다. 주력산업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매출액 1조원 규모의 정밀화학 기업을 20개까지 육성한다.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은 9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화학산업 포럼 결과보고 대회를 열고 친환경 전환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방안을 제시한다.

산업부는 화학산업 포럼 내 ▲석유화학 ▲정밀화학 ▲플라스틱 등 5개 분과에서 산학연 전문가 100여명을 이미 구성해 분과별 8개월간의 검토을 거쳐 이번 지원방안을 내놨다.

석유화학 친환경 전환 성장…정밀화학 고부가가치화 속도

석유화학 분과에서는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친환경 전환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연료전환, 원료전환 등 친환경 전환 핵심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공동 기술개발·활용을 위한 그랜드컨소시엄 구성도 추진한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오는 2030년까지 석유화학 탄소중립산업핵심기술개발에 1858억원을 투입한다. 또 친환경 전환 과정에서 기업부담 완화를 위해 리뉴어블 나프타 수입 시 석유수입부과금 징수를 제외하고 탄소중립 전환 선도 프로젝트 융자지원 사업, 녹색정책금융활성화사업 등을 지원한다.

뉴스핌

석유화학 기업 친환경 신산업 육성 방안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2.12.08 biggerthanseoul@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역전기 사용자인 석유화학사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C)·녹색프리미엄 구매를 통한 RE100 참여가 가능하도록 내년부터 기회를 연다. 탄소발자국 국제표준화를 통해 석유화학 제품의 저탄소 경쟁력 확보에도 내년부터 지원할 방침이다.

폐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 등 친환경 신산업 활동의 명확한 판단을 위해 표준산업분류를 오는 2024년 개정하고 3대 석유화학 단지의 업종특례지구도 지정한다.

정밀화학 분과에서는 정밀화학 업계의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주력산업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매출액 1조원 기업을 오는 2030년까지 20개 육성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모빌리티·배터리·정보통신 등 5대 전방산업의 주요 화학소재를 선정해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소재의 산업적 특성에 맞게 패키지형(소재·부품·수요기업 연계), 이어달리기(부처협업) 등 다각적 방식으로 연구·개발(R&D)을 지원한다. R&D와 연계한 '완제품 테스트베드'와 '디지털 트윈 기반 최적설계, 생산 플랫폼 구축'을 오는 2024년에 추진한다.

선정기준 중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내 화학소재 기술범위를 4개에서 15개로 추가해 정밀화학 으뜸기업을 30개사까지 발굴한다.

플라스틱 부가가치 향상…인프라·공급망 생태계 조성 박차

플라스틱 분과에서는 원가 경쟁력 확보,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태계 조성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부가가치율 37% 달성하는 전략을 내놨다.

인공지능(AI)를 활용한 '플라스틱 생산 4단계 혁신공정모델'을 오는 2024년까지 마련·보급한다. 탄성소재의 기술개발·실증 사업을 마련하기 위해 예타도 현재 추진중이다.

뉴스핌

플라스틱 패러다임 전환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2.12.08 biggerthanseoul@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원료사-가공사-수요사-재활용사 간 상생협력 체계를 내년에 구축한다.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인증을 내년에 신설하고 자원순환 체계를 고려해 사용 후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바이오가스화 실증사업도 내년에 추진한다.

인프라 분과에서는 화학산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화학산업 친환경 전환 촉진법' 제정 추진을 검토중이다. 석유화학 산업단지 내 부두, 전력, 용수, 도로, 파이프랙 등의 기반 확충 방안도 제시됐다.

내년에 안전관리센터를 건립하고 2024년에 체험형 훈련 강화를 통한 작업자 안전수준을 향상한다. 같은 기간 내 현장점검과 시험인증 등 맞춤형 컨설팅 지원을 통해 안전관리도 강화한다.

공급망 분과에서는 화학산업 핵심품목의 국산화, 협업생태계 조성 등을 통한 공급망 안정화 사업의 추진 전략을 제시했다.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 중 국산화가 곤란한 품목은 신규 비축물자로 지정을 내년에 검토한다. 내년에 국산화 가능 품목에 대한 R&D 지원도 이어진다. 화학산업 핵심품목 통계 구축과 전담기관 지정 등으로 체계적으로 수급을 관리하고, 민간협의체 구성을 통해 핵심품목 관리 협업 생태계를 내년에 조성한다.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정부와 산업계가 한마음으로 협력해 나간다면 변화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수출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뤄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화학산업 포럼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화학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후속 대책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