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업무개시명령 발동·확대 검토 강경대응
화물연대 소속 기사 “길어지면 일 나갈 수밖에”
물류회사 대표 “며칠 사이 분위기 달라졌다더라”
민주노총, “비조합원 일부”…의미 깎아내리면서도
정부 강경책 맞설 대응 카드 마땅치 않아 ‘고심’
지하철 이어 철도노조도 파업 철회…동력 약화 가능성
지난달 30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한송유관공사 서울지사 앞 도로에서 화물연대 노조원들이 오가는 유조차를 향해 선전전을 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배두헌·김영철 기자] 정부가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에 업무개시명령 발동 등 법과 원칙을 내세운 강경 대응으로 맞서면서 일부 차주들이 업무 현장에 복귀, 노조의 파업 대오에 균열이 일어나고 있다. 화물연대와 민주노총은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진 시멘트 부문 일부 ‘비조합원(비노조원)’의 복귀라며 의미를 깎아내리고 있지만, 전례없는 정부의 초강경 대응이 이어지자 긴장감이 높아지는 모습이다.
2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화물 현장에서는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발동 이후 며칠 사이 차주들의 달라진 분위기가 감지된다. 화물연대 소속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차량 개인 기사라고 밝힌 A씨는 이날 본지 통화에서 “회사에서 월급받고 일하는 운전수들은 상당수 현장으로 돌아갔다”며 “(조합원인) 나 같은 경우에도 일은 하고 집에 들어가야 하는데 걱정이다. 파업이 길어지면 다시 일을 나갈 수 밖에 없다. 이번 주가 고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겨울철이 건설 현장의 비수기인 만큼 일을 해서 돈을 벌 수 있는 날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화물연대 조직이 강한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파업 대오가 흔들리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BCT 차량을 운영하는 B물류회사 대표는 “운전기사들에게 들리는 현장 분위기로는 수도권은 현장 복귀가 아직 더딘 편인데 지방 쪽은 며칠 사이 달라졌다고 한다”며 “이틀 전까지만 해도 출하되는 차량이 10대 미만이었는데, 어제(1일)는 100대 정도 됐다는 말도 오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업무를 재개한 운전기사들은 대부분 비조합원들인데 동참하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아무래도 생계가 달려 있으니 부득이하게 일을 시작했을 것”이라며 “차량 할부금을 포함하면 BCT 개인운전기사들의 고정지출이 매달 600만~700만원씩 나가기 때문에 오래 버티는 데는 아무래도 한계가 있어 보인다”고 했다. 광주에 위치한 C물류회사 대표도 “직원 10여명이 전부 비조합원이라 파업 전후로 다를 것 없이 평상시처럼 운행하고 있다”며 “광주 쪽은 아무래도 파업 동참 분위기가 약한 편”이라고 전했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 “현장에 복귀했다는 분들은 비조합원인 것으로 파악된다. 저희 조합원들은 굳건히 지키고 있다”면서도 “안내를 못 받은 비조합원들은 아무래도 불안감이 조성되다보니 일부 복귀를 하는 것 같은데 우리가 그것까지 통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정부의 초강경 대응에 당황스러워하는 기색도 읽힌다. 업무개시명령 발동이 정유·철강 등으로 확대돼도, 개시명령 위반으로 인한 처벌시 가처분 소송 등 법적 대응 외에는 상황을 반전시킬 만한 ‘카드’가 없기 때문이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본지 통화에서 “교섭이라는 게 하나씩 타협점을 찾는 과정인데, 정부가 아예 ‘이거 아니면 안된다’는 식으로 나오니 답이 뻔하다”고 지적하고 “저희는 한 번도 교섭을 거부해본 적이 없다. 판을 깨고 상황을 극한으로 몰고 가는 게 어디냐”고 반문했다.
국민 여론이 파업에 부정적이란 점도 노조에게는 부담이다. 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 여론조사 업체가 지난 달 28~30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에게 조사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 응답자의 58%가 이번 화물연대 및 지하철 노조 파업에 대해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자제해야 한다”고 했다. “노조의 정당한 단체행위이므로 문제될 것이 없다”는 의견은 34%에 그쳤다.
전국철도노동조합이 노사 임금·단체협상 개정협상 타결에 따라 이날로 예고했던 파업을 철회한 것도 민주노총으로서는 대대적인 반(反)정부 투쟁 동력 약화를 우려하게 만든다. 민주노총은 화물연대 파업을 중심으로 지하철과 철도 파업을 이어가며 오는 6일 총파업을 계획했으나, 지하철 노조에 이어 철도노조까지 물러났기 때문이다.
badhoney@heraldcorp.com
yckim6452@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