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본부의 총파업(집단 운송거부)이 일주일째 이어지면서 국내 조선사에 자재 공급이 사실상 중단됐다. 파업을 앞두고 재고를 미리 확보해두긴 했지만, 중소 조선사들은 물류 차질이 계속되면 다음주부터 철강재 부족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 29일 오후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 포항지부 노조원들이 포항시 남구 대송면 철강공단에서 파업 의지를 다지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0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은 화물연대가 지난달 총파업 결의 대회를 연 뒤 미리 기자재와 철강재를 공급받아 대비해왔다. 다음달 중순까지 조업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대형 조선사 관계자는 “현재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큰 차질은 없다”며 “장기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상황을 지속해서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케이조선, 대한조선, 대선조선 등 중소 조선사도 선제적으로 재고를 확보해뒀다. 다만 적재 공간의 한계 등으로 대부분 2주 이상 버티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중소 조선사 A사 관계자는 “매일 생산·조달 부서가 재고 상황을 점검하는 회의를 연다”며 “철강재가 가장 부족한데, 추가 공급이 안 되면 다음주부터 블록(Block) 조립 등 기초 공정부터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 조선사들은 선박 건조 공정이 지연될 수 있다는 점을 가장 우려했다. 지체보상금을 물어줘야 할 뿐만 아니라 다음 선박 건조 일정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중소 조선사 B사 관계자는 “안 그래도 인력 부족 문제로 조업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었는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자재 공급까지 차질을 빚고 있다”며 “당장 (화물연대의) 파업이 끝나더라도 자재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해야 해서 연말까지 비상 체제로 움직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철강사들도 속이 타는 것은 마찬가지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화물연대 파업 이후 철강재 약 60만톤(t)이 출하되지 못했다. 철강재 평균 가격이 t당 130만원인 점을 고려하면 7800억원 규모의 매출 이연 피해가 난 것으로 추산됐다. 조선사와 철강사들은 선박 건조의 기초 자재인 후판(두께 6㎜이상의 두꺼운 철판) 가격 협상도 이달 중으로 마무리할 계획이었으나, 화물연대 파업으로 협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조선업계는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261척·1465만CGT(총화물톤수)의 건조계약을 따냈다. 수주잔량도 3675만CGT로 3년 치 일감이 쌓였다. 하지만 공정 지연이 반복될수록 산업 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등 16개 단체가 참여한 한국산업연합포럼(KIAF)은 성명을 내고 “안전운임제를 빌미로 한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거부는 집단 이기주의”라며 “화물연대는 운송거부를 즉각 중단하고 합리적 대안 마련을 위한 대화에 복귀해달라”고 했다. 화물연대와 국토교통부는 이날 오후 2차 면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권오은 기자(oheu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