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월 3기 신도시로 추가 확정된 광명·시흥 지구의 모습.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인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의 지구지정을 고시했다. 정부는 광명시흥 지구를 지난해 2월 여섯 번째 3기 신도시로 발표했지만,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 땅 투기 논란으로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했다.
국토교통부는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에 대한 공청회, 전략환경영향평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이 완료돼 29일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고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총 7만 가구 규모(1271만㎡)다. 서울 여의도 면적의 4.3배에 달한다. 문재인 정부에서 발표한 3기 신도시 중 가장 규모가 크고, 1~3기 신도시 중에서 동탄2(2400만㎡), 분당(1960만㎡), 파주운정(1660만㎡), 일산(1570만㎡), 고덕국제화(1340만㎡)에 이어 여섯 번째로 크다.
여의도로부터 12㎞ 거리에 위치한 광명시흥은 이명박 정부 시절 보금자리 주택지구(9만5000가구)로도 지정됐다가 주택시장 침체와 주민 반발로 지구 지정이 해제됐다. 이후 유력 신도시 후보로 계속 꼽히다 문 정부의 마지막 3기 신도시로 발표됐지만, LH 직원 땅 투기 논란을 겪었다.
정부는 광명시흥지구를 도시철도역 인근을 집중 개발해 밀도를 높이는 ‘콤팩트 시티’(Compact-city)로 개발할 예정이다. 서울 도심으로 20분대 진입이 가능하도록 광명 시흥을 가로지르는 도시철도를 신설해 GTX-B(신도림역, 2030년 개통 예정)와 연결하는 철도 중심의 대중교통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청년 주택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주택을 지어, 무주택자의 여건을 고려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광역시흥 지구 개발을 위해 국제 설계 공모도 추진한다. 내년부터 관련 용역을 착수해 2024년 지구계획 승인, 2025년 공사착공을 거쳐 2027년부터 주택공급을 시작할 예정이다. 다만 최대 10조원에 달하는 토지 보상 문제가 남았다. LH 투기 사태 이후 토지주 등 주민들의 불신이 큰 만큼 보상 협의 과정에서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은화 기자 onhwa@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