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킹법 없던 시절 판례…"바뀐 국민 법 감정과 안 맞아"
전화통화 |
(인천=연합뉴스) 손현규 기자 = 집요하게 전화를 했더라도 상대방이 받지 않았다면 스토킹법으로 처벌할 수 없다는 법원 판결이 논란이 되고 있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인천지법 형사9단독 정희영 판사는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A(54·남)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지난 3월 26일부터 6월 3일까지 전 연인 B씨에게 반복해서 전화를 걸어 스토킹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그는 주로 자신의 휴대전화 번호가 상대방에게 노출되지 않는 '발신 표시 제한' 기능을 이용해 전화를 걸었고, 영상 통화를 시도하기도 했다. 하루에 4시간 동안 10차례 연속으로 전화를 건 적도 있었지만, B씨는 아예 받지 않았다.
그러나 법원은 계속 전화했는데도 상대방이 받지 않아 벨 소리만 울렸다면 스토킹법으로 처벌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정 판사는 그 근거로 17년 전인 2005년 선고한 대법원 판례를 들었다.
2005년 당시는 스토킹법이 없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 보호 등에 관한 법률로 반복된 전화 등 스토킹과 유사한 행위를 처벌하던 시기였다. 스토킹법은 지난해 10월 21일 시행됐다.
정보통신망법 44조 7 '불법 정보의 유통금지 등' 조항에 따르면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을 통해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부호·문언·음향·화상·영상을 반복적으로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해서는 안 된다.
당시 대법원은 "상대방 전화기에 울리는 '벨 소리'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송신된 음향이 아니다"라며 "반복된 벨 소리로 상대방에게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줬더라도 법 위반이 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정 판사는 이 대법원 판례에 더해 "'부재중 전화'가 표시됐더라도 이는 휴대전화 자체 기능에서 나오는 표시에 불과하다"며 "A씨가 B씨에게 도달하게 한 부호에 해당한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법조계 일각에서는 이번 판결이 스토킹법이 만들어지기 전 유사 법 조항의 오래된 판례를 근거로 내려져 현실에 부합하지 못하고, 그동안 변화한 국민 법 감정과도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 한 법무법인 소속 변호사는 "보통 스토킹 피해자들이 전화를 받지 않는 이유는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느끼기 때문"이라며 "이번 판결은 '전화 스토킹'을 처벌하려면 피해자가 전화를 꼭 받으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2005년 선고한 대법 판례를 근거로 한 이번 판결은 그동안 스토킹범죄를 강력하게 처벌하기 위해 법까지 만든 지금의 국민 법감정을 전혀 반영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이명숙 한국여성아동인권센터 대표 변호사도 "스토킹법 2조 다항은 '반복해서 전화를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하는 행위'를 스토킹으로 규정하고 있어 이번 사건의 피의자도 얼마든지 처벌할 수 있다"며 "이번 판결은 스토킹법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so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