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건강한 가족] 흡연자, 질병 생겨도 금연 어려워…적절한 지원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고 고기동 가천대 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중앙일보

흡연은 많은 건강 위해를 가져온다. 많은 흡연자가 금연을 고려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금연 시도의 결과는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하다. 금연이 어려운 이유는 단순히 ‘의지의 문제’라기보다는 ‘니코틴 의존’ 때문이다. 체내 니코틴 농도가 일정 수준 이하가 되면 흡연자는 금단 증세를 느끼고 니코틴을 추가로 요구하게 된다.

금연 진료는 의사가 환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영역이다. 모든 환자 진료에서 흡연에 대한 확인과 금연에 대한 적절한 언급만으로도 환자의 금연 성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금연에 대한 구체적인 상담 및 약물요법까지 직접 시행하거나, 그러한 조건이 되는 곳으로 금연 진료를 연계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흡연자들이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생활습관병, 암, 심혈관 질환 등을 진단받거나 이로 인해 입원할 때 금연에 대한 동기 부여가 어느 때보다 높기에 금연 성공에 중요한 시간이 될 수 있다.

최근 이런 사실에 주목해 뇌졸중 후 흡연 행동 변화를 살펴본 연구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BRFSS(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주관 아래 매년 실시되는 ‘건강 관련 행동’ ‘질병 상태’ ‘예방적 의료 서비스 사용’ 등에 대한 표본 조사다. 2013년부터 2019년까지 7년간의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뇌졸중 발생 전에 흡연자였던 사람 중에서 얼마나 발생 후에도 흡연했나’라는 질문에 39.2%의 값이 나왔다. 결국 뇌졸중 당시 흡연자였던 미국인 10명 중 4명이 흡연을 지속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추가로 암 진단 후 ‘지속 흡연율에 대해서도 분석했고, 뇌졸중 진단 후 지속 흡연율보다 낮은 약 30%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에서도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 자료와 국가 검진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했는데, CVD(허혈성 심장 질환, 뇌졸중) 발생 당시 흡연자의 49.4%가 이후에도 지속해서 흡연했다.

생활습관병 진단을 받은 후 흡연 행동 변화를 살펴보는 연구도 많다. 이 중 앞에 언급된 두 가지의 우리나라 빅데이터 자료를 이용한 한 연구결과를 보면, 당뇨병 진단 후에도 68.8%의 사람들이 흡연을 지속했다.

조금 섣부른 일반화를 해보자면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질환 진단에도 지속 흡연율은 약 70%, 심혈관 사건(심근경색·뇌졸중 등) 후에도 지속 흡연율은 약 50%, 암 진단 후 지속 흡연율 약 30%로 요약된다.

우리에게는 아직 금연이 필요한 많은 환자가 남아 있다. 의사를 포함한 의료인은 환자들의 금연을 위해 좀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의료기관은 금연을 위한 시스템과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겠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