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CPI 발표 앞두고 비트코인 1만9000달러대 횡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비트코인 가격이 1만9000달러대를 횡보하고 있다.
이날 오전 7시 기준 글로벌 코인 시황 사이트 코인마켓캡에서 비트코인의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0.88% 오른 1만918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도 전 거래일보다 1.77% 오른 1300달러에 거래 중이다.
뉴욕증시 역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9월 의사록을 소화하고, 다음 날 예정된 CPI에 대한 경계감에 소폭 하락했다. 또한 투자자들은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와 FOMC 의사록, 영국 채권시장 불안을 주시했다.
간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8.34포인트(0.10%) 하락한 29,210.85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1.81포인트(0.33%) 떨어진 3,577.03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9.09포인트(0.09%) 밀린 10,417.10으로 장을 마감했다.
미 뉴욕멜론은행 가상자산 취급 업무 시작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인 뉴욕멜론은행(BNY 멜론)이 가상화폐 취급 업무를 시작했다. BNY 멜론은 전통적인 투자 자산과 디지털 자산을 같은 플랫폼에서 관리하는 최초의 미국 대형 은행이 됐다.
미국의 초대 재무장관인 알렉산더 해밀턴이 200여년 전 설립한 BNY 멜론은 다른 금융기업들의 자산을 보관·관리하는 수탁은행 가운데 세계 최대 규모로 꼽힌다.
지난해 2월 디지털 가상자산 취급 방침을 처음 밝혔던 BNY 멜론은 최근 뉴욕 금융규제당국으로부터 엄선된 고객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취급할 수 있다는 허가를 받았다. 이에 따라 BNY 멜론은 가상자산의 접근과 이체에 필요한 키를 보관하고, 펀드매니저들에게 주식, 채권, 원자재 선물 등 기존 자산에 대해서 제공한 것과 똑같은 서비스를 가상자산에 대해서도 제공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자산 저장을 위해 가상자산 관리·이체·결제 플랫폼인 파이어블록과 소프트웨어를 공동 개발했고, 가상자산이 은행까지 오는 경로를 추적·분석하기 위해 블록체인 분석업체인 체이널리시스의 소프트웨어도 사용한다고 은행 측은 설명했다.
네스트리, NFT 캘린더 구독 서비스 출시
네스트리가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프로젝트를 만날 수 있는 NFT 캘린더의 구독 서비스를 출시한다.
NFT 캘린더 서비스 구독자는 매번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혹시 놓칠 수 있는 NFT 정보를 편하게 제공받는다. 구독자는 이메일로 발송될 예정인 구독 서비스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NFT 관련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네스트리의 NFT 캘린더 서비스는 새로 발매될 NFT 매일 쏟아지는 NFT 민팅 관련 일정과 이벤트를 전달하고 있으며, 월 30만명 이상의 NFT 투자자들이 방문하고 있다. 구독자는 NFT 에어드롭에 참여하는 등 초기에 진입해 수익을 창출하는 활동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스블록, 임플란트 인증서 NFT 개발을 위한 덴티움과 업무협약
미스블록이 개발 중인 임플란트 및 의료재 NFT 발행 플랫폼 서티라이프를 활용해 덴티움의 임플란트 인증서를 발행하는 데 협업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그동안 치과를 통해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후 제공되어 온 현물 인증서는 발행자 측의 추가 관리가 필요하고, 소유자도 지속적으로 보관 및 관리를 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이에 덴티움은 미스블록이 개발하고 있는 의료재 통합 NFT 발행 플랫폼인 서티라이프의 기술을 활용해 NFT 형태로 환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덴티움은 미스블록과 협력해, 기술력과 데이터 확보 능력을 활용한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미스블록은 임플란트 및 의료재(필러, 보형물 등)의 이력정보를 NFT에 담아 NFT 인증서를 자사의 서티라이프 플랫폼을 통해 발행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아주경제=서민지·강일용 기자 vitaminji@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