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롯데 팔래스호텔에서 뉴욕 소재 투자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한국경제설명회에서 투자자들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뉴욕에서 개최된 한국경제설명회에 참석한 가운데 해외투자자들은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속 원/달러 환율의 적정 수준을 묻는 등 다양한 질문을 쏟아냈다. 이에 추 부총리는 "환율 레벨(수준)에 대해선 말하긴 어렵다"면서도 외환당국-국민연금 통화스와프 체결 등을 통해 외환시장 수급 불균형 완화에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대기업의 해외 유보금 환류 등 세제 인센티브 강화를 통해 민간 중심으로 경제 활력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롯데 팰리스호텔에서 개최한 '한국경제설명회'에서 약 1시간 동안 경제 현안을 중심으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번 한국경제설명회는 주요국의 통화 긴축과 이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속에서 한국 경제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시각을 점검하기 위한 자리다. 설명회에는 마이클 채 블랙스톤 최고 재무 책임자(CFO), 빌 파웰 블랙 필드 최고 운영 책임자(COO)등 사모펀드 고위급 인사와 JP모건, 골드만삭스, 씨티 등 글로벌 투자은행, 자사운용사의 임원급 인사 등 20명이 참석했다.
정부의 발표 이후 해외투자자들의 질의가 이어졌다. 한 참석자는 한국이 일본 등 다른 국가 대비 상대적으로 원/달러 환율을 방어(대응)해내고 있지만 킹달러(달러강세) 우려 속에서 적정한 환율 레벨(수준)은 어느정도로 보는지에 대해 질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추 부총리는 "환율의 적정한 수준에 대해선 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외환시장과 관련해 시장의 수급을 존중하되 과도한 쏠림현상에 대해서는 시장 안정 조치를 시행한다"며 외환당국-국민연금 간 통화스와프, 정책금융기관 등을 통한 조선사 선물환 매도 지원 등 외환시장 수급 불균형 완화 조치를 예시로 들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높은 추세를 유지하면서 해외투자자들이 정부의 외환시장 대응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22.8원 오른 달러당 1435.2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 거래일 대비 상승 폭은 2020년 3월 19일(40원 상승) 이후 가장 컸다.
이 밖에 참석자들은 경상수지, 새정부 경제운용 방향 등에 대해 추 부총리에게 질의했다. 추 부총리는 경상수지 관련 질의에 대해선 "경상수지 흑자 기조를 유지해나가기 위해 수출경쟁력 강화, 대중 의존도 완화를 위한 수입선 다변화 노력 등을 강구할 것"이라며 "외환시장 선진화, 외국인 국채 투자에 대한 양도·이자소득세 면제 등 세계국채지수(WGBI) 가입 추진 등을 통해 국내 자본시장의 매력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새 정부의 경제운용 방향에 대해선 경제활력을 위한 기업의 역할을 재차 강조했다. 추 부총리는 "(시장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원동력은 기업가 정신에 있으며 정부는 그 길을 열어주기 위해 규제를 개혁하고 위험에 투자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에 집중할 것"이라며 "대기업들의 해외 유보금 환류를 유도하기 위한 세제 인센티브를 마련하는 한편, 벤처 생태계가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스톡옵션 비과세 한도 상향, 복수의결권 도입 등 정책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가계부채 관련 질의에는 "최근 가계부채 증가율은 1~2% 수준으로 안정적이며 가계부채 급증의 원인이 되었던 부동산 시장도 안정화되는 모습"이라며 "다만 과도한 부채의 위험은 가계부채에도 예외가 아니라는 점에서 정부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 건전성 제고 및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 기조를 견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재정건전성 관련해선 "내년 예산안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가 5% 대에서 2%대로 축소되도록 편성했으며 재정준칙도 법제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욕(미국)=유재희 기자 ryuj@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