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상습적으로 공사비 연체
리스크 관리 차원서 선제적 대응
분쟁 절차 통해 9026억 환수계획
손실 200억~300억대로 축소 목표
이라크 투자위원회(NIC)는 9일(현지시간) “(비스마야 신도시 자금 조달 실패는) 이라크 정부의 지급 지연 때문이 아니라 한화건설 책임하에 있다”고 발표했다. 한화건설 모회사이자 지주사인 한화그룹이 NIC가 발주한 비스마야 신도시 관련 사업 계약 해지를 공시한 데 따른 맞대응이다.
한화건설이 조성 중인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전경.(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스마야 신도시 사업은 이라크 바그다드 남쪽에 10만 가구 규모 신도시를 짓는 프로젝트다. 2012년 한화건설이 수주했다. 신도시 건설과 주변 인프라 사업을 합쳐 계약금액만 101억달러,한국 돈 14조4975억원에 이른다. 하지만 수주 이후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 이슬람국가(IS) 등이 창궐하면서 사업 착수 10년이 지났지만 공정률은 40%에 그치고 있다.
한화건설이 그간 이라크에서 받은 금액은 선수금과 기성금(공사를 수행한 만큼 받는 대금) 등을 합해 약 43억2000만달러(6조2000억원)다. 여기에 분쟁 해결 절차 등을 통해 미수금 6억2900만달러(9026억원)을 환수할 계획이다. 계획대로면 손실을 200억~300억원대로 줄일 수 있다는 게 한화건설의 계산이다.
한화건설 관계자는 “선수금을 처음에 25% 정도를 받아놨는데 현재 미수금과 선수금이 비슷한 수준으로 상계 처리를 하면 손해가 발생하지 않는다”며 “미수금이 더 커지면 손해를 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비스마야 신도시 사업을 단번에 철수하기로 한 배경에는 리스크가 더이상 커지는 걸 막기 위한 목적도 깔렸다. 공사 재개를 위한 협상 절차가 남아 있지만 미수금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이라크 측이 선수금 일부를 회수하겠다고 나설 가능성도 있다. 사업 부분과는 별개로 한화건설이 이달 말 지주사인 한화에 흡수되는 점도 사업 철수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건설업계도 상황이 어떻게 흘러갈지 주시하고 있다. 현재 이라크에선 플랜트·인프라 사업을 위해 한국 건설사 다수가 문을 두들기고 있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이번 일로 당장 다른 회사에 큰 불이익이 생길 것으로 예단할 수 없다”며 “한국에 우호적이지 않은 여론이 형성될 수 있다”고 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