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시진핑, 곧 2년 8개월 만에 해외 순방…중앙아시아서 푸틴 만날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랜 '칩거'를 끝내고 이번 달 중순 중앙아시아를 방문할 것이 유력시되고 있습니다.

시 주석은 2년 8개월 만에 외국 방문을 재개하면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동할 것으로 예상돼 9월 중·러 정상회담-10월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11월 동남아 다자회의 계기 미·중 정상회담 등 하반기 숨 가쁜 국내외 일정을 소화할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아이벡 스마디야로프 카자흐스탄 외무부 대변인은 시 주석이 이달 14일 카자흐스탄을 방문한다고 현지시간으로 5일 브리핑에서 밝혔습니다.

로이터통신이 전한 스마디야로프 대변인의 발표를 보면 시 주석은 방문 기간에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을 만나 양국 간의 협정을 여러 건 체결할 예정입니다.

중국의 북동쪽 국경에 인접한 카자흐스탄은 광물, 금속, 에너지 등을 수출하며 중국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시 주석의 카자흐스탄 측의 발표에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았습니다.

시 주석이 보도대로 카자흐스탄을 방문하면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한 2020년 1월 미얀마를 방문한 이후 2년 8개월 만의 외국 방문이 됩니다.

시 주석은 카자흐스탄 방문에 이어 15∼16일에는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으며, 현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날 수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전망했습니다.

SCO는 지난 3일 공식 텔레그램 계정을 통해 "모든 국가의 지도자들이 정상회의 참여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이 만나게 되면 지난 2월 4일 베이징 동계 올림픽 개막식 이후 처음이자, 2월 하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처음입니다.

두 사람은 시 주석의 69세 생일인 지난 6월 15일 전화 통화를 통해 공조를 재확인했습니다.

SCO는 2001년 중국과 러시아의 주도로 출범해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인도, 파키스탄 등 8개국을 회원국으로 하는 정치·경제·안보 협의체입니다.

세계 양대 인구 대국(중국과 인도)이 참여하고, 핵 보유국도 4개국(중·러·인도·파키스탄) 포함됩니다.

아프가니스탄, 벨라루스, 이란, 몽골은 옵저버국입니다.

시 주석의 SCO 정상회의 참석은 지난달 초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타이완 방문으로 타이완 문제를 둘러싼 서방과의 긴장이 크게 고조된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번 회의 참석을 통해 미국의 동맹이 아닌 나라들과 더 긴밀한 안보 협력을 구축해 서방의 압박에 맞서겠다는 계산을 하고 있다는 겁니다.

시 주석이 사마르칸트에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회담한다면 오는 11월로 예상되는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의 만남에 앞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긴밀해진 중·러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공동 전선을 구축하기 위한 포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시 주석은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대면 참석할 것이라고 인도네시아 측이 밝힌 바 있어 역시 발리에 오기로 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첫 대면 회담을 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통들은 보고 있습니다.

즉, 시 주석은 이달 중순 중·러 정상회담을 통해 미국과 서방의 압박에 맞설 공동전선을 다진 뒤 10월 16일 개막하는 당 대회에서 3연임을 확정 짓고, 11월 동남아에서의 미·중 정상회담을 통해 집권 3기 대외 관계의 첫 단추를 끼우겠다는 복안일 수 있어 보입니다.
고정현 기자(yd@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