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물가와 GDP

먹거리 물가 8.4% 올라…13년여 만에 최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물가 상승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먹거리 물가가 더 오를 것으로 전망, 벌써부터 '추석 물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사진은 3일 서울의 한 전통시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둔화했으나, 먹거리 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낮을수록 먹거리가 차지하는 지출 비중이 커 서민의 물가 부담은 커질 것으로 보인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먹거리 물가는 1년 전보다 8.4% 올라 2009년 4월(8.5%) 이후 13년 4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먹거리 물가는 소비자물가지수를 지출 목적별로 분류했을 때 식료품·비주류음료와음식서비스 부문을 각 지수와 가중치를 고려해 계산한 값이다.

2020년 가중치를 기준으로 집계했을 때 지난달 먹거리 물가 지수는 113.57, 지난해 8월은 104.80이었다.



먹거리 물가 8.4%↑·호박 83%↑·갈비탕 13%↑



중앙일보

물가 상승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먹거리 물가가 더 오를 것으로 전망, 벌써부터 '추석 물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사진은 3일 서울의 한 전통시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 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8.0%로 지난해 2월(9.3%) 이후 최고치를 유지 중이다.

식료품·비주류음료에는 빵 및 곡물, 육류, 수산물, 과일, 채소, 과자, 냉동식품 등이 포함돼 있다. 호박(83.2%), 배추(78.0%), 오이(69.2%), 무(56.1%) 등 채소류 가격이 많이 올랐다.

외식 품목으로 구성된 음식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8% 올라 1992년 10월(8.9%)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갈비탕(13.0%), 자장면(12.3%), 김밥(12.2%), 해장국(12.1%), 햄버거(11.6%) 등이 많이 올랐다.

먹거리 물가의 상승세는 서민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식료품·비주류음료에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24만7960원, 외식 등 식사비에 지출한 금액은 14만4442원이었다.

월평균 가처분소득(93만9968원) 대비로 보면 지출 비중은 식료품·비주류음료가 26.4%, 식사비가 15.4%다.

먹거리 관련 지출 비중만 41.7%에 달해 전체 가구의 먹거리 지출 비중(19.0%)과 큰 차이가 난다.

소득별로 보면 2분위 가구가 24.6%, 3분위가 21.7%, 4분위가 18.9%, 5분위가 14.0%로 소득이 낮을수록 먹거리 지출 비중이 컸다.



라면값·전기 요금 등 줄줄이 인상 예고



중앙일보

24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관계자가 라면을 정리하고 있다. 이날 농심은 9월15일부터 라면과 스낵 주요 제품의 출고가격을 평균 11.3%, 5.7% 인상한다고 밝혔다. 라면 가격이 인상된 건 지난해 8월 이후 약 1년 만이고, 스낵 가격 인상은 올해 3월 이후 6개월 만이다.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공식품과 함께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도 줄줄이 예고돼 있어 물가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농심은 15일부터 서민의 대표적 먹거리인 라면의 출고 가격을 평균 11.3% 인상한다. 스낵 주요 제품의 가격도 5.7% 올릴 예정이다.

서울시는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현재 3800원에서 내년에 4800원으로 1000원 인상한다는 계획이다. 거리요금과 시간요금 기준도 올린다.

오는 10월 전기요금 인상이 예고된 가운데 도시가스 요금도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물가가 정점을 지나더라도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부담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2일 소비자물가가 발표후 ‘물가 상황 점검 회의’에서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7월 3.9%→8월 4.0%)은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이 이어지면서 외식 등 개인서비스 품목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다소 확대됐다”며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상당 기간 5∼6%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