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빚 너무 많이 늘었다…가계 금융 불균형, 외환위기 때보다 심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금리 급등으로 인한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소비 둔화와 경기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사진은 지난 1일 서울의 한 은행.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한남동에 사는 직장인 박모(42)씨는 최근 인터넷은행에서 보내온 신용대출 금리 인상 안내 문자를 받고 깜짝 놀랐다. 만기 1년인 신용대출의 금리가 다음달 말일까지 3% 이상 오른다는 내용이었다. 그는 2년 전 연 3.89%에 3000만원을 대출받아 소형 아파트를 사는데 보탰다. 지난해 연 4.25%로 오른 금리는 다음 달이면 연 6.6%로 뛴다.

금리가 오르며 월 9만7200원이던 이자가 16만5000원으로 늘어난다. 연간으로 따지면 부담해야 할 이자만 116만7000원에서 198만원으로 증가한다. 그는 “진짜 걱정은 5년 고정금리로 낸 주택담보대출 이자”라며 “집값은 슬금슬금 내려가고 월급은 그대로인데 걱정이 태산”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기준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대출금리가 빠르게 뛰는 가운데 코로나19 이후 국내 가계 빚의 불균형 상태가 2008년 세계금융위기 때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족의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민간 소비 위축 우려도 커지고 있다.

7일 현대경제연구원은 ‘금융불안정성, 장기균형선 넘고 있다’ 보고서에서 코로나19 발생 이후(2020년 1분기~22년 2분기) 가계의 평균 금융 불균형 정도(78.5포인트)가 세계금융위기(2007년 3분기~2009년 3분기·75.4포인트)와 외환위기(1997년 2분기~99년 1분기·52.5포인트) 때보다 높다고 발표했다.

중앙일보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금융 불균형은 가계·기업의 부채 수준이 국내총생산(GDP)을 비롯한 실물경제 수준보다 얼마나 과도하게 늘었는지를 의미하는 수치다. 가계의 금융 불균형 정도가 높아진 것은 가계 빚 증가율이 GDP 성장률을 크게 웃돈다는 의미다. 코로나19 이후 기업 금융 불균형 정도(71.9포인트)는 외환위기(89.5포인트)나 세계금융위기(76.3포인트) 때보다는 낮았다. 장기 평균은 50.0포인트다.

가계의 금융 불균형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치솟는 금리는 시장의 불안 요인이자 경기의 둔화를 가속할 수 있다. 1~2년 전 변동금리 대출받은 이들의 이자 부담은 최대 2배까지 늘어난 상황이다. 이는 결국 소비 위축으로 귀결된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금리가 계속 뛰면 코로나19 방역 완화로 활성화했던 민간 소비가 꺾일 수 있고 결국 경제 전체에 타격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부채 증가로 인해) 신용시장의 불균형이 특히 심화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금융당국이 가계·기업 신용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