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식 밥상에 자주 오르는 배추와 상추 가격이 고공행진 하면서 서민들과 음식점 업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오늘(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6.3% 오른 가운데 배춧값은 73%, 상춧값은 63.1%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배추김치가 '필수'인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김치를 담그는 비용이 체감상 3배는 올랐다고 토로하고 있습니다.
서울 강서구에서 15년간 보쌈집을 운영해온 박 모 씨는 "원래 여름 배추가 비싸긴 하지만 이렇게 비쌌던 적은 없었다"며 "배추 3포기가 들어있는 한 망 가격이 낮을 때는 6천∼7천 원 정도지만 올여름은 4만 원까지도 한다"며 한숨을 쉬었습니다.
이어 "보쌈은 배추에 싸 먹기도 하고 배추김치를 곁들여 먹기도 해서 꼭 필요한 음식인데, 이미 올 초에 김치 추가 금액을 1천 원 올려서 추가로 인상하기에는 손님들 눈치가 보인다"고 했습니다.
지난 1년간 전체적인 단가가 30∼40% 올랐지만, 가격에는 그만큼 반영할 수 없다는 게 박 씨의 하소연입니다.
강서구의 또 다른 보쌈집도 상황은 마찬가지였습니다.
강서구청 앞에서 보쌈집을 운영하는 황 모 씨는 "이틀에 한 번 3∼4포기씩 겉절이를 담그는데, 시장에 가서 직접 배추를 살 때마다 하루하루 배춧값이 오르는 것이 피부로 느껴진다"고 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같은 비용 부담을 반영해 유명 보쌈 프랜차이즈 업체는 지난해부터 김치 추가 금액을 1천 원씩 3∼4차례에 걸쳐 인상했고, 현재 1만1천 원의 추가 금액을 받고 있습니다.
성북구에 사는 직장인 유 모(26) 씨는 "동네 단골 보쌈 집에서 포장했더니 확실히 김치양이 매장에서 먹는 것보다 적더라"며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습니다.
겉절이김치를 주로 취급하지만, 리필 요청에 추가 금액을 받기 어려운 칼국숫집 업주들의 속앓이는 더 커졌습니다.
영등포구에서 10년 넘게 칼국숫집을 운영해온 김 모(55) 씨는 "배추는 애초에 비싸서 쓰지도 못한다"고 했습니다.
그는 "일주일에 2∼3번씩 열무와 얼갈이김치를 담그는데 얼갈이 가격이 2배나 올라서 큰일"이라며 "원래 열무김치는 판매도 하는데, 요즘같이 비싼 때에는 팔지도 못한다"고 토로했습니다.
인근에서 13년간 칼국숫집을 운영한 이 모(57) 씨 역시 "올라도 너무 올랐다. 배추김치를 매번 직접 담그기 때문에 체감하는 게 더 크다"며 "손님들이 김치를 더 달라고 하면 어쩔 수 없이 더 낼 수밖에 없는데, 점점 부담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했습니다.
배추김치를 판매하는 반찬가게 역시 ㎏당 가격을 인상하거나, 기존 가격에 양을 줄이는 방식으로 살길을 도모하는 모습입니다.
온라인에서 김치를 판매하는 A 업체는 지난 5월에는 겉절이를 1㎏에 1만 원에 판매했지만, 이달 3일에는 1만1천 원으로 가격을 올렸습니다.
B 업체가 안내한 배추겉절이 1㎏당 가격은 지난 5월 1만1천 원, 7월 1만2천 원, 이달 1만3천 원으로 올랐습니다.
3㎏ 기준으로는 3만 원→3만3천 원→3만6천 원으로 석 달 새 판매 가격이 20%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도봉구에 사는 송 모(52) 씨는 "최근 반찬가게에서 배추김치와 오이소박이를 샀는데, 가격은 같았지만 양이 70% 정도 줄어 깜짝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상추도 배추 못지않게 귀한 몸이 됐습니다.
강서구에서 족발집을 운영하는 사장 A씨는 "상추 무한리필을 유지하고는 있지만, 최근 상추 4㎏ 한 상자가 8만∼9만 원까지 뛰었다. 직원이 양을 조절하면서 직접 리필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음식점도 있지만, 인건비도 고려해야 한다"며 한숨을 쉬었습니다.
노원구에 사는 직장인 박 모(26) 씨 역시 "최근 옆 동네의 소고깃집을 갔는데 기본 상추를 달랑 2장만 줘서 당황스러웠다"며 "제육볶음을 먹으러 간 또 다른 삼겹살집은 상추 리필에 2천 원을 받아서 '상춧값이 정말 많이 오르긴 했구나'라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