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28일 중앙방역대책본부가 마련한 코로나19 전문가 설명회에서 향후 재유행 전망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28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8만8384명으로 전날(10만285명)보다 1만1901명 줄었다. 1주일 전(21일, 7만1145명)과 비교해도 1.2배 수준이다.
정 교수는 “2~3주 전 정부 예측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가까웠다”며 “평균 30만 명 정도까지 도달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근거 중 하나로 “4차 접종 비율이 예상보다 높은 상태”라고 했다. 28일 기준 60세 이상 고령자의 4차 접종률은 41.0%로 집계됐다. 전체로 봐도 27.7%로 소폭씩 오르고 있다. 켄타우로스 변이(BA.2.75)의 전파 능력이 알려진 것보다 높지 않다는 점도 이유로 들었다. 또 올 초 오미크론 대유행 때 감염자가 많았고, 이후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 재유행이 온 것이라 해외와 달리 상대적으로 재감염률이 낮은 점도 유행에 영향을 준다고 했다.
김남중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설명회에서는 과학방역과 거리두기, 4차 접종 등에 대한 국민 질의도 나왔다. 김남중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와 정재훈 교수의 답변으로 정리해 봤다.
Q : 과학방역이 뭔가.
A : “변이의 특성과 백신, 치료제를 고려해 합리적인 정책 결정을 하는 것이다.”
Q : 자율만 강조하는 것 아닌가.
A : “자율방역이라는 게 국가 주도의 광범위하고 일률적인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지 않겠다는 한정적인 의미다. 앞으로도 유행이 반복될 텐데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지속해서 제한하는 것은 무리고, 참여와 권고에 기반한 정책이 시행돼야 한다. 다만 저소득층 생활비 지원, 아프면 쉴 수 있는 환경 등을 위해 정부의 전향적 접근이 필요하다.”
정재훈 교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 : 사회적 거리두기는 효과가 없는 건가.
A : “지난해 델타 변이 유행 때까지만 해도 강력한 거리두기를 적용하면 유행을 저지할 수 있었다. 오미크론 변이가 등장한 후로는 유행 규모를 크게 줄이거나 유행의 정점을 뒤로 미루는 데 한정적인 효과를 보인다. 이 정도를 위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손실, 학력 손실을 감당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 델타 이상의 중증도를 지닌 새로운 변이가 나타나고 확산 속도가 빨라지면 강력한 거리두기를 다시 도입할 수는 있다.”
Q : 개량 백신은 언제 맞나.
A : “BA.4나 BA.5 맞춤형 백신 개발은 10월 정도에 완료될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다. 고위험군 등 4차 접종 대상자들은 개량 백신을 기다리는 것보다 기존 백신으로 접종하는 게 합리적이다.”
Q : 4차 접종을 꼭 해야 하나.
A : “백신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부작용보다 압도적으로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실제 4차 접종 이후 이상반응 신고율도 접종자의 0.06% 수준으로 나온다. 기초 접종과 3차 접종 때와 비교하면 낮다.”
Q : 숨은 감염자가 얼마나 될까.
A : “전체 감염자의 절반 내지 3분의 2 정도가 검사를 받고 확진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검사 비용 지원 등이 없다면 실제 감염자 중에서 확진으로 드러나는 비율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고위험군 중에서 이런 숨은 감염자가 늘지 않게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