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핫플 된 청와대… 기관들 서로 “우리가 관리할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체부 “미술관·공연장 활용”

문화재청 “역사문화공간 보존”

서울시도 “관광 랜드마크로”

개방된 청와대를 누가 관리하느냐를 두고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재청, 서울시청 간 경쟁이 불붙고 있다. 서로 자신들이 청와대를 관리·운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화재청은 “청와대를 역사문화공간으로 보존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문체부는 미술관과 공연장으로 사용하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청은 청와대를 서울의 랜드마크로 만들어 관광을 활성화하자는 입장이다.

현재 청와대 운영 관리의 주체는 대통령실과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등 3개 기관이다. 이 가운데 문화재청이 임시 관리를 맡고 있다. 문화재청은 청와대를 국가 사적(史蹟)으로 지정하거나,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 등록해 보존하고 싶어한다. 춘추관, 여민관, 영빈관 등 청와대 내부 건물들이 역사적 상징성을 갖고 있는 만큼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반면, 상급 기관인 문체부는 청와대를 미술관과 공연장, 도서관 등 문화 시설로 꾸미는 안을 준비하고 있다. ‘원형 보존’에 초점을 둔 문화재청과 달리,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문화 시설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21일 대통령 업무 보고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청와대 미래상 청사진’을 보고할 예정이다.

서울시도 경쟁에 나섰다. 청와대 개방을 광화문 광장, 인사동, 청계천, 서촌까지 연계하면 ‘관광 클러스터’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문화부와 문화재청은 “청와대를 그저 관광지로만 머물게 둘 순 없다”며 반대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어느 기관이 관리하는 게 국민에게 가장 좋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느냐의 관점에서 검토 중”이라며 “연말쯤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일각에선 부처 간 밥그릇 싸움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관계자는 “청와대 방문객이 130만명을 넘어서면서 기관마다 자신들이 가져가려는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주희연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