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충남, 석탁화력 폐쇄지 고용위기 해법 모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홍성) 정일웅 기자] 충남도가 석탄화력발전 폐쇄 지역의 고용위기 대응과 지역 내 대체 발전소 건설, 수소 에너지 전환 등 신산업 발굴을 위한 해법 모색에 나선다.

도는 12일 김태흠 충남도지사와 중부·서부·동서발전 등 발전 3사 경영진, 노조위원장이 만나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간담회는 석탄화력발전의 단계적 폐지에 따른 각 발전사의 대응계획과 노조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 자리에선 주로 석탄화력발전 폐기 계획에 따른 LNG발전 대체 건설, 석탄화력발전 폐지에 따른 고용대책, 수소·암모니아 등 대체 신산업 발굴 등에 관한 논의가 진행됐다.

도는 간담회에서 공유된 각 주체의 의견을 반영해 석탄화력발전 폐지에 대한 지역사회의 입장을 정리하고 이를 산업통상자원부 등 중앙정부에 전달, 대책 마련을 촉구한다는 계획이다.

또 현재 정부가 수립하고 있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도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중점 대응할 방침이다.

김 도지사는 “탈석탄은 기후변화 속 세계적 추세라는 점을 부정할 수 없다”면서도 “다만 기존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하기 전 대안을 마련하고 그간 석탄화력발전소가 지역에서 가동되며 장기간 피해 입은 주민에게 응분의 보상이 뒤따르는 조치가 취해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충남에는 보령 8기, 당진 10기, 서천 1기, 태안 10기 등 석탄화력발전소 29기가 위치했다.

이는 전국 57기의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도내 에너지 발전량은 전국의 22.9%(1위), 석탄화력 발전 비율은 전국의 48.5%(1위)를 차지한다.

이와 달리 도내 에너지 발전량의 48%는 외부로 보내지는 실정이다. 에너지 생산지역과 소비지역이 서로 다른 셈으로 이는 도가 석탄화력발전소 입지로 주민들의 피해가 컸던 반면 이에 따른 보상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근거로도 활용된다.

현재 도가 추진하는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일정표는 2020년 12월 2기, 2025년 4기, 2028년 1기, 2029년 3기, 2030년 2기, 2032년 2기 등으로 계획됐다.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