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등 ‘징계 수용’ 조언…대표 복귀·사퇴 주장 갈려
11일 최고위 시작으로 의총도 열어 본격 의견 수렴 나서
터널 속 여당 당 윤리위원회의 징계 결정 이후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잠행에 들어간 가운데 10일 국회 본관 국민의힘 당대표실 앞 복도에 불이 꺼져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이 초유의 당대표 징계 사태 이후 수습책을 모색하고 있다. 이준석 대표와 측근들은 향후 행보를 숙고했다. 중진들을 중심으로 이 대표가 징계를 수용할 것을 조언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 대표와 각을 세웠던 의원들은 공개 대응을 자제했다.
당내에서는 이 대표가 6개월간의 당원권 정지 후 당대표로 복귀할 길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과 이 대표가 신속히 대표직을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이 갈린다. 11일 최고위원회의와 선수별 의원 모임, 의원총회에서 당 입장이 정리될지 주목된다.
국민의힘 인사들은 10일 정중동 행보를 보였다. 징계 당일인 지난 8일 “당대표에서 물러날 생각이 없다. 모든 조치를 하겠다”고 강하게 반발했던 이 대표는 침묵을 지켰다. 이 대표는 주말 내내 측근 및 정치권 인사들의 조언을 들으며 심사숙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가 침묵한 것은 당내 여론이 호의적이지 않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공개적으로 이 대표 지지 입장을 밝힌 이는 하태경·김웅 의원 정도에 불과하다. 유승민 전 의원이 전날 대구에서 열린 저서 <야수의 본능으로 부딪쳐라> 북콘서트에서 “윤리위나 윤핵관들은 조폭 같다”고 이 대표 징계를 비판했지만 소수 의견이다. 취재에 응한 의원들은 당대표 직무대행인 권성동 원내대표의 ‘함구령’으로 언급을 조심스러워하면서도 “이 대표가 징계를 수용해 더 이상의 혼란을 막아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차분히 사태를 정리하고 누명을 벗기 위한 사법적 절차에만 집중하라”며 “좀 더 성숙해져서 돌아오라. 세월 참 많이 남았다”고 했다. 4선 의원을 지낸 나경원 전 의원도 “억울한 점이 있다면 당원권 정지 기간에 이를 풀어내는 것에 집중하고 일단 윤리위 결정을 존중하는 것이 본인의 미래를 지키는 길”이라고 밝혔다.
조해진 의원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 무게를 실었다. 조 의원은 SNS에 “이 대표가 사퇴하지 않는 이상 전당대회를 열어 새 대표를 뽑을 수 없고, (직무)대행체제로 6개월간 당을 운영하는 것은 비대위보다 더 적절치 않다”며 “법원에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해 기각될 경우 대표직 사퇴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썼다.
정대연·문광호 기자 hoan@kyunghyang.com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