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日 아베 전 총리 피격 사망

日 최장수 총리… 반한(反韓) 주도로 한국과는 악연 [아베 前 日총리 피격 사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수라장으로 변한 유세장

연설 시작 1~2분 뒤 두 차례 총성

병원 이송 5시간여만에 끝내 숨져

정치권·시민들 “있어선 안될 일”

선거 이틀 앞 유세 취소 잇따라

우경화 이끌며 韓과 극한 대립도

세계일보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일본 총리가 총기 피격으로 사망해 일본 열도가 큰 충격에 빠졌다. 여야를 불문한 정치권은 물론 경제계, 일반 시민까지 용납할 수 없는 만행에 분노를 표시했다.

◆피격 5시간33분 만에 절명

아베 전 총리는 8일 오전 11시30분쯤 총격을 받은 뒤 병원에 이송돼 5시간33분 만인 오후 5시3분 숨졌다.

피격 현장에 있던 자민당 관계자와 목격자 증언에 따르면 아베 전 총리는 이날 11시19분쯤 유세장인 나라시 야마토사이다이지(大和西大寺)역 인근 로터리에 도착한 뒤 한동안 청중에게 손을 들어 인사했다. 이어 11시29분쯤 연설을 시작해 1∼2분 후인 11시30분쯤 총소리가 두 번 크게 울렸다.

당시 가까운 곳에서 연설을 지켜봤던 한 여성은 NHK 방송에 “연설을 하는 아베 전 총리 뒤편에서 한 남자가 다가왔다”며 “첫 발에는 쓰러지는 사람이 없었고, 두 발째에 아베 전 총리가 쓰러졌다”고 했다.

세계일보

체포 순간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에게 총격을 가한 전직 해상자위대원 야마가미 데쓰야(41)가 8일 범행 직후 달려든 경찰관들에게 붙잡히고 있다. 경찰은 현장에서 저격범이 사용한 총기(작은 사진)도 확보했다. 아사히신문 제공·NHK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심장 마사지 등 응급조치가 이뤄지는 와중에 “의사가 없느냐”는 소리가 터져 나왔다. 아베 전 총리는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한 뒤 헬기로 옮겨져 오후 12시20분 사건 현장에서 21㎞ 떨어진 나라현립의과대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던 중 끝내 절명했다.

◆여야 정치인 테러행위 규탄

일본은 큰 충격에 빠졌다. 10일 참의원(상원) 선거를 앞둔 상황임에도 여야 주요 정치인은 유세를 중단하고 테러행위를 규탄했다.

야마가타(山形)현 사가에(寒河江)시에서 유세 중 보고를 받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는 헬기를 이용해 급히 도쿄로 돌아오면서 각지에서 유세 중이던 각료들도 소집했다. 제1야당 입헌민주당 이즈미 겐타(泉健太) 대표는 “정치적 입장은 달랐지만 (아베 전 총리는) 국정에 커다란 발걸음을 남겼다”며 “진심으로 애도의 마음을 드린다”고 말했다. 시민 불안도 커져 도쿄의 한 50대 여성은 요미우리신문에 “오싹하다. 이런 일로 세상이 불안해질까 봐 무섭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아베 신조 일본 전 총리가 총격으로 사망한 8일 오후 사고 현장인 일본 나라현 나라시 소재 야마토사이다이지역 인근 노상에서 시민들이 아베 전 총리를 추모하며 헌화를 하고 있다. 교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한(反韓) 주도로 한국과는 악연

아베 전 총리는 1·2차 집권 합쳐 일본의 최장수(8년9개월) 총리이자 총리 퇴임 이후에도 자민당 내 최대 파벌을 이끌며 상왕으로 군림한 일본 우익의 구심점이었다.

1993년 야마구치(山口)현에서 중의원(하원) 의원으로 당선됐다. 2006년 52세에 전후 최연소 총리로 취임했으나 1년 만에 퇴진했다. 2012년 재집권에 성공해 2020년 건강 문제로 사임할 때까지 1강(强) 독주 체제를 유지했다.

재임 중 쌓은 영향력은 퇴임 후에도 유지돼 스스로 필생의 업이라고 강조한 개헌에 매달렸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의 군사적 팽창 등으로 일본 국민의 안보 의식이 전에 없이 높아진 지금을 개헌 적기로 여기고 이번 선거에서 자위대의 헌법 명시 등을 골자로 한 개헌을 앞장서 주장했다.

일본 사회의 우경화를 이끌며 한국과 극한 대립을 촉발했던 장본인이기도 하다. 일본군위안부 문제,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 등으로 재임 중 한국 정부와 정면으로 충돌했다.

도쿄=강구열 특파원 river910@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