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코로나19' 6차 대유행

경기도, 코로나19 재유행 대비'원스톱 진료시스템' 확보 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경기도 광교 신청사 전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서울│수원=좌승훈기자.경기도는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검사·진료·처방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원스톱(One-Stop) 진료기관’을 지속 확보하고, 감염병 취약 시설 현장점검을 강화한다.

7일 도에 따르면 도내 코로나19 일일 신규확진자는 지난 6월 1000명 미만까지 내려갔다가 지난 6일 5174명을 기록하는 등 다시 증가세다. 도는 ‘거리두기 없는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면서 코로나19 재유행도 우려하고 있다.

도는 ‘원스톱 진료시스템’ 확보 및 감염병 취약시설 관리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방안을 마련했다.

먼저 코로나19 원스톱 진료기관을 지속적으로 추가 확보한다. 코로나19 원스톱 진료기관이란 진단검사, 대면 및 비대면 진료, 먹는 치료제 처방 등이 일괄적으로 가능한 곳을 말한다. 원스톱 진료기관이 많아질수록 확진자가 증가하더라도 일반의료체계 내에서 안정적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도는 도내 2810개 ‘호흡기환자 진료센터’가운데 1284개소를 원스톱 진료기관으로 지정했다. 호흡기환자 진료센터와 원스톱 진료기관 현황은 다음, 네이버 등 주요 포털사이트 검색 또는 코로나19 누리집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는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방역관리와 현장 대응 강화를 위해 지난 달 ‘감염취약시설 대응계획’을 수립하고, ‘4개 분야 11개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4개 분야는 △취약시설 대응체계 구성 △집단감염 예방 관리 강화 △신속 대응시스템 구축 △전문교육 등을 통한 관리역량 강화 등이다.

4개 분야 실천을 위한 11개 과제 주요 내용을 보면 도는 52팀 447명 규모의 경기도-보건소-시설 간 합동 전담팀을 구성해 집단 확진자 발생 시 현장 대응체계를 강화한다. 팀별 의사 1명과 간호사 1명 이상으로 구성된 기동 전담팀 69팀도 운영하며 요양시설 등에서 현장 대면 진료로 확진자의 중증화 및 사망을 방지한다.

이 밖에△100병상 이상 요양·정신병원 대상 감염관리실 설치 등 감염관리 현장점검 △예방 접종률 제고 및 선제 검사 모니터링 △요양시설 등 방역물품 사전 비축·대응 △감염취약시설 관리자·종사자 대상 감염관리 교육 및 현장 컨설팅을 실시한다.

도는 장기적으로는 분당서울대병원에 예정된 수도권 감염병 전문병원을 2027년까지 완공하는 등 감염병 의료 대응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한다.

도는 올여름을 코로나19 재유행 우려 시점으로 보고 있다. 예방접종과 감염으로 획득한 면역력의 지속 기간은 통상 3~6개월인데, 오미크론 대유행 시기 감염됐던 환자들의 면역력이 곧 떨어지면서 방역조치 해제 후 맞이하는 여름 휴가철이 겹치기 때문이다.

지난 6일 중대본 발표에 따르면 국내 3차 접종 완료자 100명당 26.8명이 돌파감염으로 추정되고, 재감염 비율도 6월 1주 차 1.22%에서 6월 4주 차 2.96%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텔스오미크론으로 불린 ‘BA.2’보다 전파속도가 35.1% 빠른 새로운 변이 ‘BA.5’는 전주 대비 16.6%가 증가한 24.1%가 검출되는 등 국내 전파 위험성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달 22일 국내 원숭이두창 감염증 환자 발생에 따라 경기도와 48개 보건소에 방역대책반을 구성했다.현재 도와 시·군 간 24시간 공동 대응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분당서울대병원을 원숭이두창 전담병원으로 지정하고 전담병상 2병상을 확보·운영하고 있다.

hoonjs@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