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용산 개발, 이젠 실제 변화 시작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 신임 구청장을 만나다

박희영 용산구청장

“그동안 종이로만 수없이 계획

정권교체로 개발 가속화 기대

철도 지하화 경원선부터 추진

특위 구성해 불법쓰레기 해결”

세계일보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은 “매일 현장에 가서 주민 의견을 듣고 소수 의견이라고 묻히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는 등 소통하는 구청장이 되겠다”고 말했다. 남정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서울시, 용산구 모두 종이로는 수없이 용산 개발을 계획했습니다. 그동안이 ‘지면’상의 변화였다면 이제는 실제 땅 위에서 변화가 시작될 것입니다.”

용산공원 조성과 대통령 집무실 이전 등으로 서울의 중심으로 부상한 용산구가 격변을 앞두고 있다. 용산구 첫 여성 구청장인 박희영 신임 구청장은 이 변화의 선봉에 섰다. 1일 용산구청에서 만난 박 청장은 “그동안 개발 지체로 용산구민은 엄청나게 인내했고, 피해를 봤다. (정권 교체로) 이제 개발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용산구는 서울 한복판임에도 낡고 허름했다. 지난 10년간 몰라보게 달라졌지만, 여전히 전체 면적의 3분의 2가 개발예정지이거나 개발 중일 만큼 갈 길이 멀다.

용산의 지도를 바꿀 개발 예정지 중 한 곳은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다. 박 청장은 “국토부는 이곳에 1만호 주택 공급을 고집하는데, 이 경우 전체 면적의 50%가 주택”이라며 “그러면 베드타운이지 국제업무지구로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비창 부지의 30%에 6000호를 건립하는 것이 적합하다”며 “국토부가 1만호를 고집한다면 주변에 개발 여지가 충분한 전자상가 등으로 4000호 정도는 추가할 수 있다”고 했다. 박 청장은 “오세훈 서울시장, (용산이 지역구인) 권영세 통일부 장관도 생각이 같기에 국토부에 계획 변경을 강력하게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산구의 또 다른 장기 과제는 ‘철도 지하화’다. 경부선이 남북, 경원선이 동서로 지나며 도시를 단절시키고 있다. 박 청장은 “대통령 집무실도 왔으니 철도 지하화는 시간 문제일 뿐 언젠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 청장은 일단 상대적으로 지하화가 용이한 경원선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경부선의 경우 노선이 많고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정부와 서울시 모두 지하화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경부선도 4년 안에 가시화가 힘들더라도 예비타당성 조사부터 시도하겠다”고 말했다.

용산의 풍경을 뒤흔들 가장 큰 사업은 용산공원 조성이다. 최근 용산공원 부분 개방 과정에서 토지 오염이 논란이 됐다. 박 청장은 이와 관련 “개방이 진행되면 용산구민의 건강이라는 입장에서 제 목소리를 내겠다”고 밝혔다.

박 청장은 초선이지만 이미 용산의 구체적인 미래상을 머리에 담고 있다. 2018년 시의원 선거에서 낙선한 후 용산 골목골목을 빠짐없이 다니며 고민의 시간을 가졌다. 또 총선과 서울시장 보궐 선거를 함께하며 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

성장 과정에서 체화한 구민의 삶은 그의 정치의 주춧돌이 됐다. 박 청장은 초등학교 4학년 때 아버지가 용문시장에 산부인과를 개원하면서 용산으로 이사 왔다. 시장에서 고무줄을 뛰고 숨바꼭질을 하며 삶의 현장을 함께 호흡했다. 새벽에 가게를 열어 한밤 중에야 닫던 어르신들의 삶이 지금도 눈 감으면 그려질 정도다.

이런 경험 때문에 그는 “구민과 소통하고 매일 한두 곳은 현장에 가는 구청장이 되고 싶다”고 했다. 이번 선거에서도 구민의 목소리를 열심히 들었다. 주차난과 쓰레기 문제에 대한 호소가 컸다. 박 청장은 “용산은 골목길이 많고 구릉지라 불법 쓰레기 투척이 문제”라며 “골목길을 다녀 보니 10년 된 쓰레기도 있더라”라고 전했다. 그는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쓰레기 전수조사’를 해서라도 묵은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다. ‘주민과 함께하는 구청장’이 되기 위해 취임식을 생략한 박 청장은 “앞으로 주민 속에서 4년 내내 있겠다”고 다짐했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