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이슈 '코로나19' 6차 대유행

갑자기 찾아온 탈모·우울감까지···혹시 언제 확진되셨나요 [코로나TMI]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명지병원 정영희 교수팀, ‘코로나 후유증’ 기간별 증상 연구 결과 첫 발표

코로나19 후유증클리닉 환자 1122명, 진단 4주 후 복합증상 시달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감염 4주를 기점으로 후유증 양상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지 4주까지는 호흡기 관련 증상이 주로 나타났지만, 이후부터는 피로감과 주의력저하, 우울감부터 시력저하, 탈모, 성기능장애에 이르기까지 평균 4개가 넘는 증상을 겪고 있었다.

한양대 명지병원 정영희 교수 연구팀은 지난 3월 21일부터 4월 22일까지 한 달간 코로나19 후유증클리닉을 다녀간 환자 1122명의 증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조사됐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명지병원 코로나19 후유증 클리닉을 방문한 1122명을 감염 시점 기준으로 4주 이내의 급성기(acute) 후유증 그룹(675명)과 4주 이상의 급성후(post-acute) 후유증 그룹(447명)으로 분류하고, 설문지 및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증상을 비교했다. 진단 후 4주와 12주를 기준으로 급성후 코비드(Post-acute COVID)와 롱코비드(Long COVID)로 분류하는 유럽임상미생물감염학회(ESCMID)의 기준을 참고한 것이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후유증을 찾은 환자의 95.2%가 심장과 폐 증상을 호소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전신 증상은 73.4%였고, 신경 증상(67.8%), 정신 증상(45.7%), 소화기 증상(43.6%)이 뒤를 이었다. 세부 증상을 살펴보면 기침이 78.9%로 가장 많았고, 가래(74.2%), 피로(66.2%), 호흡곤란(51%), 전신 위약(49%)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장 빈도가 높은 증상은 그룹별로 차이가 있었다. 4주 이내인 급성 그룹의 경우 기침(82.2%), 가래(77.6%), 두통(37.8%) 등의 증상이 가장 많았지만, 감염 후 4주가 지난 급성 후 그룹에서는 각각 73.8%와 68.9%, 31.3%로 적게 나타났다.

대신 급성 후 그룹에서는 피로(69.8%), 주의력 저하(38.9%), 우울(25.7%), 시야흐림(21.9%), 배뇨곤란(9.8%), 탈모(9.4%), 성기능 장애(6.9%) 등의 증상이 두드러졌다. 급성그룹에서 피로(63.9%), 주의력 저하(31.3%), 우울(19.4%), 시야흐림(14.2%), 배뇨곤란 (6.5%), 탈모(5.0%), 성기능 장애(2.7%) 등으로 낮게 집계된 것과 대조적이다.

급성후 그룹은 평균 4.2개의 복합 증상을 호소하며 급성그룹의 3.9개보다 많았다. 세부증상 역시 급성그룹이 8.1개로 급성후 그룹의 7.6개보다 다양한 증상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정신 증상과 눈, 피부, 비뇨기 계열 증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복합적으로 높았다.

연구팀이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코로나19 후유증 환자의 나이가 많고 우울과 불안, 피로 증상의 정도가 높을수록 동반되는 증상 카테고리와 세부 증상의 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영희 교수는 “후유증 초기에는 호흡기 바이러스인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호흡기 증상이 집중된 반면 그 이후부터는 다양한 기전에 따라 여러 가지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며, “4주 이상 후유증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다학제적 진료 접근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명지병원에 따르면 지난 3월 16일 국내 최초로 다학제 진료시스템을 갖춰 개소한 ‘코로나19 후유증 클리닉’에는 지금까지 3300여 명의 코로나19 후유증 환자가 다녀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오미크론 시대의 급성 코로나19 감염 후 지속되는 증상'이란 제목으로 대한의학회지(JKMS) 7월호에 실렸다.

안경진 기자 realglasses@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