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애니메이션 월드

영산대 한중일비교문화硏, 이류(異類)문화의 K-콘텐츠 가능성 제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옥빈 기자]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와이즈유 (영산대학교) 한중일비교문화연구소가 지난달 30일, 한류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이류(異類)문화'를 주제로 삼아 온·오프라인 세미나를 진행했다.

여기서 '이류(異類)'란 인간과는 다른 종족, 예컨대 귀신, 괴물, 요괴 등을 말한다.

이날 세미나는 한류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이류문화를 깊이 있게 탐구하고, 활용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세미나에는 영산대 부구욱 총장, 김인규 창조인재대학장 등을 비롯한 20여명의 문화콘텐츠 전문가가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국제뉴스

영산대학교 한중일비교문화연구소가 지난달 30일 이류문화를 주제로 온‧오프라인 세미나를 열고 있다/제공=와이즈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제발표는 영산대 한중일비교문화연구소 정재서 소장과 서울여자대학교 국문과 김수연 교수, 신현찬 동화작가 등이 맡았다.

먼저, 영산대 한중일비교문화연구소 정재서 소장이 '동아시아 이류문화의 원천 <산해경>'을 주제로 발표했다. 산해경은 고대 중국의 신화와 자연관을 담은 서적이다.

정 소장은 이류문화를 소개하며 한류 콘텐츠의 소스가 될 원형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는 "산해경은 동아시아 신화의 고전이고, 신화는 모든 이류문화의 원천"이라고 강조하며 "산해경을 통해 이류문화의 원형을 발굴하고,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면 한류 문화콘텐츠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서울여대 김수연 교수는 '가족 이(異)담, 한국 이류변신담(異類變身談)의 관계 서사와 치유적 의미'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류변신담은 동물 등이 인간으로 변화하는 변신설화다.

김 교수는 이류변신담의 은유적 의미를 조망하며, 현재의 시사점을 전했다. 그는 "이류변신담 속에서 제도·문화적 억압을 의미하는 금기를 발견할 수 있다"며 "오늘날 젊은이들이 이 기담(奇談, 이상하고 재밌는 이야기)의 판타지 자체에서 흥미를 느낄 수도 있겠지만, 관계의 취약성 등 청년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엿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동화작가인 신현찬 작가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류문화가 실제 창작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신 작가는 "최근 인기 있는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이류문화 캐릭터는 전투력을 가지고 서로 싸우는 등 폭력성을 담고 있다"면서 "하지만, 신화·설화의 요괴·괴수는 겉으로 드러나는 공포가 아닌 창작자나 동시대 사람들이 가진 억압된 심리를 표현하는 수단일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류문화의 캐릭터를 폭력성으로 소비하기보다는 작품이 만들어진 본래의 취지를 살펴봐야 한다"면서 "이류문화에 담긴 억압된 심리와 같은 인간 내면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이를 현대적으로 어떻게 재해석할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미나에 참석한 영산대 부구욱 총장은 "한중일비교문화연구소의 세미나가 계속되면서 한류 문화콘텐츠 발전을 돕고 창작자에게는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깊이 있고 다양한 주제를 통해 한류 문화콘텐츠의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영산대 한중일비교문화연구소는 한류와 관련한 문화콘텐츠 진흥, 정체성 확립, 지속적 발전 등을 위해 문화원형을 발굴하고, 창조적으로 활용하고자 매년 2차례씩 세미나를 열고 있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